원가진단사 2차시험 모범 답안 및 해설
원가진단사 2차시험 모범 답안
원가진단 대상 귀속일: 2018년 01월 31일
한국경영회계연구원 원가진단 교육용 샘플자료입니다.
1. 요소별 원가계산
1. 원가내역
다음의 수불 자료를 보고 부문 및 제품별 직접재료비와 공통재료비를 구하시오
재료는 모두 계속기록법에 의한 개별법으로 기록 하였다.
1) 재료 수불부 (기간: 2018.01.01 ~ 2018.01.31)
[입고내역]
입고일 |
품목 |
수량 |
단가 |
금액 |
비고 |
2018-01-01 |
전월이월 |
250 |
10,000 |
2,500,000 |
직접 80%, 공통 20% |
2018-01-07 |
부품-1 |
350 |
12,000 |
4,200,000 |
직접재료 |
2018-01-12 |
부품-2 |
180 |
10,500 |
1,890,000 |
공통재료 |
2018-01-15 |
부품-3 |
230 |
18,000 |
4,140,000 |
직접재료 |
2018-01-21 |
부품-4 |
420 |
12,000 |
5,040,000 |
직접재료 |
2018-01-23 |
부품-5 |
290 |
14,500 |
4,205,000 |
공통재료 |
2018-01-26 |
부품-6 |
320 |
19,600 |
6,272,000 |
직접재료 |
2018-01-28 |
부품-7 |
650 |
10,250 |
6,662,500 |
공통재료 |
2018-01-30 |
부품-8 |
550 |
20,000 |
11,000,000 |
직접재료 |
[출고내역]
입고일 |
품목 |
수량 |
단가 |
금액 |
비고 |
2018-01-08 |
부품-1 |
200 |
12,000 |
2,400,000 |
1공정 |
2018-01-15 |
부품-3 |
220 |
18,000 |
3,960,000 |
냉장고 |
2018-01-22 |
부품-4 |
420 |
12,000 |
5,040,000 |
TV |
2018-01-26 |
부품-6 |
300 |
19,600 |
5,880,000 |
컴퓨터 |
2018-01-30 |
부품-8 |
500 |
20,000 |
10,000,000 |
스마트폰 |
2018-01-12 |
부품-2 |
180 |
10,500 |
1,890,000 |
공통부문 |
2018-01-24 |
부품-5 |
290 |
14,500 |
4,205,000 | |
2018-01-28 |
부품-7 |
650 |
10,250 |
6,662,500 | |
합계 |
2,760 |
|
40,037,500 |
|
2) 노무비
[1월 임금대장]
성명 |
부문 |
근무시간 |
기본급 |
생산수당 |
고정수당 |
비고 |
홍길동외 5인 |
제1공정 |
250시간 |
22,800,000 |
32,400,000 |
3,000,000 |
직접부문 |
임꺽정외 3인 |
제2공정 |
300시간 |
14,000,000 |
15,600,000 |
2,400,000 |
직접부문 |
김생산외 7인 |
냉장고 |
180시간 |
18,900,000 |
23,000,000 |
5,600,000 |
직접부문 |
이비젼외 5인 |
TV |
200시간 |
21,000,000 |
31,800,000 |
3,600,000 |
직접부문 |
정원가외 3인 |
컴퓨터 |
240시간 |
16,000,000 |
16,000,000 |
800,000 |
직접부문 |
차세대외 6인 |
스마트폰 |
360시간 |
26,600,000 |
18,900,000 |
6,300,000 |
직접부문 |
김감독 |
공장장 |
400시간 |
2,300,000 |
1,800,000 |
300,000 |
공통부문 |
유경비 |
경비 |
365시간 |
1,500,000 |
0 |
200,000 |
공통부문 |
이빛나외 4인 |
생산관리부 |
150시간 |
17,000,000 |
0 |
1,000,000 |
간접부문 |
차주방외 6인 |
구내식당 |
120시간 |
12,600,000 |
0 |
700,000 |
간접부문 |
3)직접경비
[1월 경비내역]
과목명 |
금액 |
가동시간 |
사용부문 |
기계감가상각비 |
45,000,000 |
3,500 |
제1공정 20%, 제2공정 30%, 냉장고 10%, TV 15%, 컴퓨터 20%, 스마트폰 5% |
2. 공통원가내역
[1월 제조부문의 공통경비 내역]
번호 |
계정과목 |
금액 |
제1공정 |
제2공정 |
냉장고 |
TV |
컴퓨터 |
스마트폰 |
1 |
재료비 |
13,257,500 |
2166,258 |
2,599,510 |
1,559,706 |
1733,007 |
2,079,608 |
3,119,412 |
2 |
급여 |
6,100,000 |
996,732 |
1,196,078 |
717,647 |
797,386 |
956,863 |
1,435,294 |
3 |
감가상각비 |
28,000,000 |
4,575,163 |
5,490,196 |
3,294,118 |
3,660,131 |
4,392,157 |
6,588,235 |
4 |
교육훈련비 |
3,000,000 |
514,286 |
342,857 |
685,714 |
514,286 |
342,857 |
600,000 |
5 |
복리후생비 |
34,000,000 |
5,828,571 |
3,885,714 |
7,771,429 |
5,828,571 |
3,885,714 |
6,800,000 |
6 |
가스수도료 |
6,500,000 |
1,062,092 |
1,274,510 |
764,706 |
849,673 |
1,019,608 |
1,529,412 |
7 |
소모재료비 |
25,000,000 |
4,084,967 |
4,901,961 |
2,941,176 |
3,267,974 |
3,921,569 |
5,882,353 |
8 |
소모품비 |
17,500,000 |
2859,477 |
3,431,373 |
2,058,824 |
2,287,582 |
2,745,098 |
4,117,647 |
9 |
전력비 |
12,000,000 |
1,960,784 |
2,352,941 |
1,411,765 |
1,568,627 |
1,882,353 |
2,823,529 |
합계 |
145,357,500 |
24,048,331 |
25,475,140 |
21,205,084 |
20,507,236 |
21,225,826 |
32,895,882 |
[1월 공통경비 배부율]
번호 |
계정과목 |
배부기준 |
제1공정 |
제2공정 |
냉장고 |
TV |
컴퓨터 |
스마트폰 |
1 |
재료비 |
근무시간 |
16.34% |
19.61% |
11.76% |
13.07% |
15.69% |
23.53% |
2 |
급여 |
근무시간 |
16.34% |
19.61% |
11.76% |
13.07% |
15.69% |
2353% |
3 |
감가상각비 |
근무시간 |
16.34% |
19.61% |
11.76% |
13.07% |
15.69% |
23.53% |
4 |
교육훈련비 |
종업원수 |
17.14% |
11.43% |
22.86% |
17.14% |
11.43% |
20.00% |
5 |
복리후생비 |
종업원수 |
17.14% |
11.43% |
22.86% |
17.14% |
11.43% |
20.00% |
6 |
가스수도료 |
근무시간 |
16.34% |
19.61% |
11.76% |
13.07% |
15.69% |
23.53% |
7 |
소모재료비 |
근무시간 |
16.34% |
19.61% |
11.76% |
13.07% |
15.69% |
23.53% |
8 |
소모품비 |
근무시간 |
16.34% |
19.61% |
11.76% |
13.07% |
15.69% |
23.53% |
9 |
전력비 |
근무시간 |
16.34% |
19.61% |
11.76% |
13.07% |
15.69% |
23.53% |
[1월 간접부문의 공통경비 내역]
번호 |
계정과목 |
금액 |
배부기준 |
생산관리 |
배부율 |
구내식당 |
배부율 |
합계 |
1 |
도서인쇄비 |
5,000,000 |
종업원수 |
2,083,333 |
41.67% |
2,916,667 |
58.33% |
5,000,000 |
2 |
보험료 |
2,000,000 |
종업원수 |
833,333 |
41.67% |
1,166,667 |
58.33% |
2,000,000 |
3 |
통신비 |
1,500,000 |
종업원수 |
625,000 |
41.67% |
875,000 |
58.33% |
1,500,000 |
4 |
감가상각비 |
8,000,000 |
종업원수 |
3,333,333 |
41.67% |
4,666,667 |
58.33% |
8,000,000 |
합계 |
16,500,000 |
6,875,000 |
9,625,000 |
16,500,000 |
[1월 간접부문별 직접경비 내역]
번호 |
계정과목 |
생산관리부 |
구내식당 |
총합계 |
금액 |
금액 | |||
1 |
급여 |
18,000,000 |
13,300,000 |
31,300,000 |
2 |
복리후생비 |
23,000,000 |
17,000,000 |
40,000,000 |
3 |
소모품비 |
4,300,000 |
5,000,000 |
9,300,000 |
4 |
세금과공과 |
560,000 |
300,000 |
860,000 |
5 |
교육훈련비 |
450,000 |
200,000 |
650,000 |
6 |
수도광열비 |
500,000 |
700,000 |
1,200,000 |
합계 |
46,810,000 |
36,500,000 |
83,100,000 |
|
합계 |
제1공정 |
제2공정 |
냉장고 |
TV |
컴퓨터 |
스마트폰 |
근무시간 |
1530 |
250 |
300 |
180 |
200 |
240 |
360 |
종업원수 |
35 |
6 |
4 |
8 |
6 |
4 |
7 |
3. 부문별 원가배분
1. 제조부문의 공통경비 배부는 주어진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배부한다.
2. 간접부문의 배부는 간접부문별 업무 특성에 맞게 배부한다.
3. 간접부문의 직접부문 배부 기준은 단계배부법을 사용하여 배부한다.
[직접경비]
계정과목 |
직접부문 | |||||
1공정 |
2공정 |
냉장고 |
TV |
컴퓨터 |
스마트폰 | |
직접재료비 |
4,400,000 |
|
3,960,000 |
5,040,000 |
5,880,000 |
10,000,000 |
직접노무비 |
58,200,000 |
3,200,000 |
47,500,000 |
5,600,000 |
3,280,000 |
5,180,0000 |
직접경비 |
9,000,000 |
13,500,000 |
4,500,000 |
6,750,000 |
9,000,000 |
2,250,000 |
직접경비계 |
71,600,000 |
45,500,000 |
55,960,000 |
68,190,000 |
47,680,000 |
64,050,000 |
[공통경비]
공통경비계정 |
1공정 |
2공정 |
냉장고 |
TV |
컴퓨터 |
스마트폰 |
재료비 |
2,166,258 |
2,599,510 |
1,559,706 |
1,733,007 |
2,079,608 |
3,119,412 |
급여 |
996,732 |
1,196,078 |
717,647 |
797,386 |
956,863 |
1,435,294 |
감가상각비 |
4,575,163 |
5,490,196 |
3,294,118 |
3,660,131 |
4,392,157 |
6,588,235 |
교육훈련비 |
514,286 |
342,857 |
685,714 |
514,286 |
342,857 |
600,000 |
복리후생비 |
5,828,571 |
3,885,714 |
7,771,429 |
5,828,571 |
3,885,714 |
6,800,000 |
가스수도료 |
1,062,092 |
1,274,510 |
764,706 |
849,673 |
1,019,608 |
1,529,412 |
소모재료비 |
4,084,967 |
4,901,961 |
2,941,176 |
3,267,974 |
3,921,569 |
5,882,353 |
소모품비 |
2,859,477 |
3,431,373 |
2,058,824 |
2,287,582 |
2,745,098 |
4,117,647 |
전력비 |
1,960,784 |
2,352,941 |
1,411,765 |
1,568,627 |
1,882,353 |
2,823,529 |
공통경비 계 |
24,048,331 |
25,475,140 |
21,205,084 |
20,507,236 |
21,225,826 |
32,895,882 |
[생산관리부: 근로시간 기준 단계 先배부 / 구내식당: 종원원 수 기전 단계 後배부]
보조부문명 |
1공정 |
2공정 |
냉장고 |
TV |
컴퓨터 |
스마트폰 |
생산관리부 |
8,134,091 |
9,760,909 |
5,856,545 |
6,507,273 |
7,808,727 |
11,713,091 |
구내식당 |
8,576,462 |
5,717,642 |
1,143,583 |
8,576,462 |
5,717,642 |
10,005,873 |
합계 |
16,710,553 |
15,478,551 |
17,291,829 |
15,083,735 |
13,526,369 |
21,718,964 |
총원가 |
112,358,884 |
86,453,691 |
94,456,913 |
103,780,971 |
82,432,195 |
118,664,846 |
[공정별 원가계산 방법]
1. 1공정을 거쳐 2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제품은 프린터기임
2. 1공정과 2공정 모두 월초재공품은 없음
3. 1공정 월말 재공품은 없으며 2공정의 월말재공품의 1월 31일까지의 완성도는 50%임
4. 2공정의 최종 완성수량은 100개이며 월말재공품 수량은 20개임
5. 재료비와 가공비는 완성도 기준에 따라 균등투입된다.
변동원가: 121,865,768 / 고정원가: 76,946,807 / 변동비율: 61.30% / 고정비율: 38.70%
[공정별 원가계산]
1공정원가: 112,358,884 / 2공정원가: 86,453,691 / 총공정원가: 198,812,575
단위당 완성품 원가(변동원가): 12,185,768 / 110개 = @1,107,871
단위당 완성품 원가(고정원가): 76,946,807 / 110개 = @699,516
기말재공품 원가: 1807387 * 10 = 18073870
프린터기 완성품 원가: 1공정 + 2공정 총원가: 198,812,575 - 기말재공품 원가 18,073,870 = 10,738,705원
※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는 다음과 같다.
1)변동원가(직접원가 + 공통원가 중 공통재료비)
2)고정원가(공통원가 중 급여 ~ 전력비, 보조부문 원가)
4. B·E·P분석
[제품별 손익분기점 분석]
제품명 |
프린터기 |
냉장고 |
TV |
컴퓨터 |
스마트폰 |
합계 |
판매가액 |
190,000,000 |
100,000,000 |
120,000,000 |
90,000,000 |
120,000,000 |
620,000,000 |
변동원가 |
110,792,826 |
57,519,706 |
69,923,007 |
49,759,608 |
67,169,412 |
355,164,558 |
공헌이익 |
79,207,174 |
42,480,294 |
50,076,993 |
40,240,392 |
52,830,588 |
264,835,442 |
고정원가 |
69,945,879 |
36,937,207 |
33,857,965 |
32,672,587 |
51,495,434 |
224,909,072 |
기대이익 |
9,261,295 |
5,543,087 |
16,219,029 |
7,567,805 |
1,335,154 |
39,926,370 |
BEP매출액 |
167,784,259 |
86,951,391 |
81,134,179 |
73,074,160 |
116,967,316 |
526,529,318 |
BEP율 |
88.31 |
86.95 |
67.61 |
81.19 |
97.47 |
84.92 |
공헌이익율 |
41.69 |
42.48 |
41.73 |
44.71 |
44.03 |
42.72 |
경영안전율 |
11.69 |
13.05 |
32.39 |
18.81 |
2.53 |
15.08 |
손익분기점 분석진단
■ 위의 제품들 중 손익분기점 비율이 가장 높은 제품은 어느것인가?
☞ 스마트폰
■ 위의 제품들 중 경영안전율이 가장 높은 제품은 어느것인가?
☞ TV
■ 위의 제품들 중 공헌이익율이 가장 높은 제품은 어느것인가?
☞ 컴퓨터
■ 경영안전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은 각각 어떠한 것이 있는가?
1)판매가격의 인상을 통하여 경영안전율을 높여야 하며 판매가격을 높일 수 없다면 변동원가를 절감
하여 공헌이익을 높이는 전략을 취하여야 한다.
2)변동원가의 절감이 어렵다면 고정원가의 변동비화 또는 구조조정등을 통한 고정원가의 절감을 해야 함
3)변동원가 및 고정원가의 지속적인 원가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표준원가 관리가 필요하다.
■ TV의 생산량이 100대일 때 손익분기점 판매수량은? (소수점이하 반올림)
FC/CMPU = 33,857,965 / (50,076,993/100) = 68대
■ TV의 목표이익(TNI)을 20,000,000원으로 할 때 적정 판매량과 적정 판매액은? (소수점이하 반올림)
- 적정 판매량: FC+TNI/CMPU = (33,857,965 + 20,000,000)/500,770 = 108대
- 적정 판매가액: (FC+TNI)/CMR = (33,857,965 + 20,000,000)/0.4173 = 129,062,940
■ 경영안전율이 가장 낮은 (스마트폰) 생산을 중단하고 이에 따른 잉여생산 시설을 활용하여 TV생산을
증산하려고 한다. 생산라인 전환에 따른 자료는 다음과 같으며 위와 같은 의사결정이 옳은지를 진단하시오.
○ 생산라인 증산에 따른 TV생산라인의 추가 매출액은 5천만원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 (스마트폰)생산라인을 중단 하더라도 회피불능 고정원가는 4천만원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산내역]
1)TV의 기존 변동비율: 69,923,007(변동비) / 120,000,000(판매가액) = 0.5827
2)TV의 추가 매출액에 따른 변동비: 50,000,000원(추가매출액) * 0.5827 = 29,135,000
3)TV의 추가 매출에 따른 수정 후 공헌이익
기존 매출액 120,000,000원 + 추가매출액 50,000,000원 = 170,000,000원
기존 변동원가 69,923,007원 + 추가변동비 29,135,000원 = 99,058,007원
수정 후 공헌이익: 170,000,000원 - 99,058,007원 = 70,941,993원
4)이익진단: 수정 후 공헌이익 70,941,993원 - 40,000,000원 = 30,941,993원 - TV의 기존 고정원가 30,941,993원
- 33,857,965 = △2,915,972
5)진단결과
경영안전율이 낮은 스마트폰을 생산중단하고 TV생산을 증산할 경우 스마트폰의 회피불능 고정원가를
감당할 수 있는 이익이 나오지 않음에 따라 TV의 현재 생산 증산은 부적합 한 것으로 진단 됨
5. B·E·P차트 분석
■ 손익분기점 분석에서 나타난 제품별 B·E·P Chart를 그리시오. (단위: 100만원)
(매출액선, 고정비선, B·E·P선, 총비용선을 모두 나타나시오.)
6. B·E·P MATRIX
■ 매트릭스에 제품의 위치를 나타내고 각각의 질문에 답하시오.
1) 고정비 과다로 인한 매출이익 한계 도달형이란?
BEPr 75%이상이며, FCr 50% 이상인 제품을 말하며, 경영에 필요한 매출이익을 더 이상
높이기 힘든 상태를 말함
2) 변동비 과다로 인한 공헌이익 한계 도달형이란?
BEPr 75%이상이며, FCr 50% 이하인 제품을 말하며, 변동비 과다로 인하여 공헌이익이
한계에 도달한 제품을 말함
3) 매출 확대를 통한 규모의 경제적 이익 창출형이란?
FCr 50%이상인 제품을 대량 생산 또는 판매가격 인상을 통하여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함
4) 목표 설정이 가능한 이익 극대화형이란?
BEPr 75%이하이며, FCr 50% 이하인 제품을 말하며, 소량 생산 및 소량 판매를 하더라도
SMr(경영안전율)25% 이상 확보 가능한 이익 극대화형 제품을 말함
5) 변동비 과다 제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진단하고 논하시오.
- 단위당 제품별 판매가액을 인상한다.
- 단위당 판매가격 인상이 어렵다면 변동비 절감(변동재료비, 변동노무비)을 한다.
- 변동재료비 절감 방안은 부품 반감화 기법을 적용한 설계도면 작성
- 재료 구매처의 다변화, 대체 가능한 원·부자재 구입 방안 논의
- 변동 노무비 절감을 위해서 고정노무비화를 실현(변동 수당 ---> 기본금 화)
- 외주 생산비용 절감을 위한 내부생산화 방침 설정
6) 고정비 과다 제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진단하고 논하시오.
- 단위당 제품별 판매가액을 인상 또는 생산량 증대
- 단위당 판매가격 인상이 어렵다면 고정비 절감방안을 논의한다.
- 고정비의 변동비화(자체생산 ---> 외주화, 기계설비 등 ---> 리스화)
- 리드타임을 최소화 하는 방안으로 생산전략을 구축한다.
- 불필요한 설비 등(유휴설비 자산)의 매각
- 고정노무비의 변동노무비화(기본급의 축소와 이에 따른 변동수당의 증대 등)
7. 표준원가 및 제조간접비 배부차이 분석
■ 컴퓨터의 재료비에 대한 표준원가 차이에 대하여 가격차이와 능률차이를 구하라
[표준원가 자료]
○ 컴퓨터 제품의 1월 예상 생산량: 100개
○ 컴퓨터 제품의 1월 실제 생산량: 150개
○ 단위당 실제 투여 재료비
○ 제품 1단위당 표준 투입량: 5개
○ 단위당 표준 투여 재료비: 15,000원
○ 재료 실제 투여 수량: 476단위
직접재료비 |
간접재료비 |
단위당원가 |
5,880,000 |
2,079,608 |
16,722 |
[표준원가 분석]
실제투입원가(AQ * AP): 476 * 16,722 = 7,959,608 >기준원가(AQ * SP): 7,140,000 < 표준원가(SQ * SP): 750 * 15,000 = 11,250,000
실제투입원가 7,959,608 > 기준원가 7,140,000 = 819,608 (가격차이 불리)
기준원가 7,140,000 < 표준원가 11,250,000 = 4,110,000 (수량차이 · 능률차이 유리)
■ 재료비(가격차이 불리)에 따른 진단을 하시오.
- 재료비 인플레이션 현상에 따른 단가 인상
- 구매부서의 구매가격 협상 부재에 따른 원인
- 구매처의 다변화가 되지 못함에 따른 가격 고정화 문제
■ 재료비(능률차이 유리)에 따른 진단을 하시오.
- 근로자의 기술력 향상에 따른 자재 소비의 감소
- 최소의 재료만으로 생산이 가능한 제품 설계 합리화에 따른 재료비 감소
- 정상자재 위주의 공급에 따른 재료 공손율 감소
- 기계 오작동 감소에 따른 재료 공손율 감소
- 근로자의 사기진작에 따른 재료 공손율 감소
■ 컴퓨터의 제조간접비(공통경비 중 재료비를 제외한 금액)배부차이를 구하시오.
[표준 제조간접비 자료]
○ 컴퓨터의 1월 에상(표준)제조간접비는 21,000,000원이다.
○ 컴퓨터의 1월 예상 생산량은 100개이다.
○ 제조간접비 조업도 기준은 생산량으로 한다.
1)예정배부율: 예상 제조간접비 / 예상 생산량
21,000,000 / 100개 = @210,000
2)예정배부액: 실제 조업도 * 예정 배부율
150개 * @210,000 = 31,500,000원
3)배부차이
실제발생 제조간접비 32,672,587 > 예정배부액 31,500,000 = 1,172,587원(과소배부)
8. 고·저점법 분석
■ 컴퓨터 제품에 대한 생산량 대비 재료비 고·저점법 분석 및 풀이과정을 나타내시오.
연도 |
2017.02~2018.01 |
2월~7월 고·저점법에 따른 단위당 원가 | |||
생산팀명 |
컴퓨터 |
(최대 재료비 발생액-최소 재료비 발생액)/ (최대생산량-최소생산량) = 고·저점법 평균 단가
(23,190,000 - 8,680,000) / (410-160) = @58,040 | |||
월평균생산량 |
211 | ||||
대상항목 |
재료비 고·저점법 분석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MAX OR MIN | ||
2017.02 |
180 |
9,310,200 |
| ||
2017.03 |
220 |
11,250,000 |
| ||
2017.04 |
410 |
23,190,000 |
MAX | ||
2017.05 |
160 |
8,680,000 |
MIN | ||
2017.06 |
170 |
8,950,000 |
| ||
2017.07 |
230 |
12,160,000 |
|
[8월~1월 고·저점법에 따른 추가허용 원가]
최소 발생 재료비 - (최소 생산량 * 고·점법에 의한 평균단가) = 추가 가산 또는 차감되는 원가
8,680,000 - 9,286,400 = △606,400
| |
월 |
실제 생산량 |
실제 발생액 |
표준 재료비 |
차이발생 | |
2017.08 |
160 |
8,270,000 |
8,680,000 |
-410,000 | |
2017.09 |
100 |
5,190,000 |
5,197,600 |
-7,600 | |
2017.10 |
180 |
9,880,000 |
9,840,800 |
39,200 | |
2017.11 |
150 |
7,360,000 |
8,099,600 |
-739,600 | |
2017.12 |
420 |
24,500,000 |
23,770,400 |
729,600 | |
2018.01 |
150 |
7,959,608 |
8,099,600 |
-139,992 | |
합계 |
2,530 |
136,699,808 |
63,688,000 |
-528,392 |
○ 2017년 8월 고·저점법에 따른 표준 재료비를 구하시오.
(8월 실제 생산량 * 고·저점법에 의한 평균단가) + 또는 - 추가 허용 가감 원가
(160개 * @58,040 = 9,286,400) -606,400 = 8,680,000
○ 2017년 9월 고·저점법에 따른 표준 재료비를 구하시오.
(9월 실제 생산량 * 고·저점법에 의한 평균단가) + 또는 - 추가 허용 가감 원가
(100개 * @58,040 = 5,804,000) -606,400 = 5,197,600
○ 2017년 10월 고·저점법에 따른 표준 재료비를 구하시오.
(10월 실제 생산량 * 고·저점법에 의한 평균단가) + 또는 - 추가 허용 가감 원가
(180개 * @58,040 = 10,447,200) -606,400 = 9,840,800
○ 2017년 11월 고·저점법에 따른 표준 재료비를 구하시오.
(11월 실제 생산량 * 고·저점법에 의한 평균단가) + 또는 - 추가 허용 가감 원가
(150개 * @58,040 = 8,706,000) -606,400 = 8,099,600
○ 2017년 12월 고·저점법에 따른 표준 재료비를 구하시오.
(12월 실제 생산량 * 고·저점법에 의한 평균단가) + 또는 - 추가 허용 가감 원가
(420개 * @58,040 = 24,376,800) -606,400 = 23,770,400
○ 2018년 1월 고·저점법에 따른 표준 재료비를 구하시오.
(2018년 1월 실제 생산량 * 고·저점법에 의한 평균단가) + 또는 - 추가 허용 가감 원가
(150개 * @58,040 = 8,706,000) -606,400 = 8,099,600
■ 17년 8월 ~ 18년 1월까지의 고 · 저점법 분석에 따른 실제 재료비와 표준 재료비 진단을 하시오.
- 하반기 실제 생산량 대비 고·저점법에 따른 표준 재료비는 전반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28,392원의 재료비 원가 손실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 됨
- 하반기 고·저점법에 따른 표준 재료비 대입 결과 원가 낭비가 발생한 연도와 월은
2017년 8월, 9월, 11월, 2018년 1월인것으로 진단되어짐
- 고·저점법에 의한 표준 원가 절감 진단은 미흡한 것으로 진단 됨
○ 원가진단사 교육과 시험에 대해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 주시면 친절히 상담하여 드리겠습니다.
한국경영회계연구원 조현석 원장 010-2246-3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