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술활동--★☆/재무진단사

알기쉽게 배우는 재무회계의 기초

원가진단사조현석 2018. 10. 16. 01:51

 

 

머리말

 

기업을 운영하고 경영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힘든 일인가 하는 점은 직접 사업을 해보지 않고는 느낄 수 없는 일일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경영실적을 재무제표로 나타냈을 때 나온 지표로 사업주가 경영을 잘 했구나 또는 잘 못했구난 하는 것을 단순히 지적해 보기 보다는 사업자체가 얼마나 힘이 드는가를 함께 공감해 보면서 문제의 원인 분석과 함께 해결 방안을 같이 모색해 나아가야 할 것이라 사료됩니다.

 

회계부서에서 오랜동안 일을 하다보면 회계 전표에 대해서 단순히 일어난 거래에 대하여 기록 관리하기보다는 어떤 한 거래가 일어났을 때 회사에 미치는 영향 등을 함께 고려해 보게 됩니다.

바로 경영주의 마음을 닮아 간다고 할 수 있겠지요...

 

남의 일처럼 하기 보다는 자기의 일처럼 함께 고민해 보고 해결 방안을 찾아보게 될 것입니다.

 

재무관리는 회사의 재산을 관리하는 업무입니다. 회사가 주식회사인 경우 그 회사의 재산은 곧 주주들의 재산이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 재무관리를 잘 하는 방법은 재무제표를 통한 경영분석을 잘 적용해 주어야 합니다.

 

그 이유로는 회사도 사람의 몸처럼 정기적인 진단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건강관리 진단을 오랜동안 받지 않다가 나중에 중병이 즐어 병원에 가나고 했을 때 너무 오랜동안 세월이 흘러 손 쓸 틈이 없다고 한다면 얼마나 손해이겠습니까?

 

회사도 마찬가지입니다. 단순히 거래 기록관리만 잘하고 수익성 지표가 전기보다 높게 나온다고 해서 절대로 끝날 일은 아닙니다.

 

대차대조표의 자산과 부채 그리고 자본분석에서부터 손익계산서의 수익과 비용분석 및 현금흐름 분석 등을 통하여 전문적이면서도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경영분석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어느 한 가지 지표만 좋다고 해서 모든 것이 좋다고 하거나 또는 반대로 어느 부분이 안좋다고 해서 회사 전체의 재무지표가 나쁘다고 하는 것도 경계대상입니다.

 

또한 회사의 경영분석 지표만을 가지고 미래를 섣불리 판단하여 회사의 방향을 함부로 결정하는 것도 금해야 될 일입니다.

 

경영분석은 과거의 거래를 바탕으로 한 숫자가 나타낸 결과물입니다.


이러한 숫자들을 바탕으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방향성을 제시해 주어야 합니다.

 

그러한 방향성을 가지고 결정하는 것은 최고 경영자의 몫이기도 합니다.

 

그 무엇보다도 회사의 형편을 잘 아는 사람이 바로 회사를 경영하는 최고 경영자이기 때문입니다.

 

회계전문가는 바로 기업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회계분석 지표를 제시 해 줄 때 비로서 빛이 나기 시작합니다.

 

병원의 의사로 표현한다면 바로 명의라고 할 수 있겠지요...

 

이 책을 통해서 많이 부족하지만 조금이라도 큰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및 교재에 대한 문의와 재무진단 컨설팅에 대한 사항은 다음의 연락처로 연락주시면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한국경영회계연구원

원장 조현석

010-2246-3953

 

 

 

 

 

 

 

 

 

 

 

 

 

 

 

 

 

                                          목차

 

제1장 중소기업의 성장과 재무관리 / 9

Ⅰ. 재무관리의 의의 / 9

   1. 재무관리의 목표 / 9

   2. 주식회사의 특성 / 10

 

제2장 재무회계 / 11

 Ⅰ. 재무회계의 이해 / 11

   1. 재무회계의 이해 / 11

   2. 재무회계의 개념 / 19

 

제3장 원가회계 / 26

 Ⅰ. 원가의 기본개념 / 26

    1. 원가란?

    2. 원가대상(Cost Object)으로의 배분 전 집계 / 26

    3. 원가동인(Cost Driver) / 28

    4. 조업도(Volume) / 28

    5. 원가의 분류 / 29

    6. 원가의 행태별 분류 / 29

    7. 추적가능성에 따른 분류 / 34

    8. 제조활동에 따른 제조원가의 구성요소 및 흐름 / 35

    9. 수익과 대응관계에 따른 분류 / 36

    10. 의사결정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36

    11. 자산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36

    12. 통제가능성에 따른 분류 / 37

    13. 시점에 따른 분류 / 37

 Ⅱ. 원가회계의 체계와 흐름 / 45

     1. 원가계산의 과정 / 45

     2. 부문별 원가계산의 4절차 / 46

     3. 원가실무 / 50

     4. 원·부자재 매입에 따른 매입관리 설계 / 50

     5. 노무비 발생에 따르는 기본 테이블 설계 / 51

     6. 원가회계 처리 방법 / 52

  Ⅲ. 원가배분 / 55

     1. 원가배분이란? / 55

     2. 부문별 제조간접원가 배부율(Department Overhead Rate) / 82

  Ⅳ. 계정별 원가계산 / 83

    1. 계정별 원가계산의 의의 / 83

    2. 제조 계정과목의 종류 / 84

    3. 계정별 원가배분의 기준 / 85

    4. 제조 간접비와 공통경비의 구분 / 87

    5. 계정별 원가배분 실무 이론 설명 / 87

    6. 원가배분 실무 보고서 작성

  Ⅴ. 제품별 B·E·P분석 실무 / 103

    1. 원가·조업도·이익분석의 의의 / 103

    2. CVP분석의 가정 / 103

    3. CVP분석에 나오는 용어 및 공식 / 104

    4. 손익분기점을 내기 위한 전략 / 105

    5. 손익분기점 보고서 및 도표 작성 실무 / 108

 

제4장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통한 경영분석

    1. 재무상태표를 통한 경영분석 / 116

    2.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통한 경영분석 / 119

 

제5장 재무계획 및 통제 / 123

    1. 현금흐름 분석 / 123

    2. 현금의 범위 / 123

    3. 현금보유비율분석 / 124

    4. 현금흐름 분석의 한계점 / 125

 

제6장 엑셀을 통한 재무관리 실무 /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