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관리사-재무회계 도서 안내
Foreword 머리말
회계의 투명성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기업에서도 회계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신규직원 채용시기업에서는 어느 정도 실력이 검증된 사람을 찾으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반면, 회계실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제도가 미흡하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또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과정이 실무와 상당한 차이가 있어서 기업에서는 신규직원 채용 후 재교육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희 삼일회계법인은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재경전문가를 양성하는 국가공인 회계관리자격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회계관리자젹제도는 수준에 따라 회계관리2급, 회계관리1급, 재경관리사로 나뉘어집니다.
먼저 회계관리2급은 전사원의 회계마인드 함양을 위하여 기업의 의사소통 수단인 회계의 기초지식을 검증하는 단계로서 재무제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분석능력을 습득하였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입니다.
다음으로 회계관리1급은 회계실무자를 대상으로 재무회계와 세무회계에 대한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하여 기업의 실무책임자 또는 관리자로서 전반적인 회계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재경인을 선발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재경관리사는 회계관리자격제도의 최상위단계로서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등 재경업무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식과 실무능력을 겸비하여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의 전반적인 관리책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재경전문가를 선발하는 과정입니다.
본서는 상기 회계관리자격제도 중 재경실무자를 선발하는 재경관리사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대상으로 재무회계의 내용을 실무중심의 다양한 사례와 함께 알기 쉽게 설명한 교재입니다.
본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재무회계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실무에 필요한 회계 이론을 사례와 함께 알기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둘째, 기업 결산시 실무지침서로 활용가능하도록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계정과목별로 주요 회계처리방법과 결산시 유의사항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였습니다.
셋째, 재경실무자들이 어렵게 느끼는 파생상품회계, 지분법회계, 이연법인세회계 등을 이해하기 쉽도록 다양한 사례와 함께 알기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넷째, 2011년부터 상장기업에 의무적용된 K-IFRS의 내용을 본문 및 보론으로 반영하였으며, 기존 기업회계기준서와의 비교를 통해 K-IFRS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본서는 재경관리사 시험에 대비한 교재이지만, 그 동안 저희 삼일회계법인이 쌓아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중심의 사례를 곁들여 알기 쉽게 설명하였기 때문에 재경분야에서 실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관리자들도 업무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끝으로 이 책이 나오기까지 수고해주신 집필진 여러분께 심심한 사의를 표하며, 본 책자가 재경관리사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앞당기는 길잡이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삼일회계범인 회장 안경태
Information 재경관리사 자격시험 안내
국가공인 회계관리자격제도란?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재경분야의 전문가임을 인증하는 자격시험제도입니다. 시험은 수준에 따라 회계관리2급, 회계관리1급, 재경관리사로 구분됩니다.
자격기준 개요
1) 회계관리2급: 회계의 기초지식과 재무제표에 대하 기본적인 이해 및 분석능력을 검증합니다.
2) 회계관리1급: 재무회계, 세무회계에 관한 지식을 갖춘 기업의 회계실무자 및 중간관리자로서 회계전반에 걸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 평가 검증합니다.
3) 재경관리사: 제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등 재경전반의 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춘 기업내 재경전문가로서 기업의 종합적인 관리책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평가 검증합니다.
시험안내
1. 회계관리2급
1) 시험일자: 연 5회 실시
2) 응시자격: 연령, 학력, 경력 제한 없음
3) 시험과목: 회계원리
4) 합격기준: 70점(100점 만점) 이상
5) 문항수 및 유형: 40문제 객관식(4지선다형)
2. 회계관리1급
1) 시험일자: 연 5회 실시
2) 응시자격: 연령, 학력, 경력 제한 없음
3) 시험과목: 재무회계, 세무회계
4) 합격기준: 전과목 과목별 70점(100점 만점) 이상
5) 문항수 및 유형: 매 과목당 40문제 객관식(4지선다형)
3. 재경관리사
1) 시험일자: 연 5회 실시
2) 응시자격: 연령, 학력, 경력 제한 없음
3) 시험과목: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4) 합격기준: 전과목 과목별 70점(100점 만점) 이상
5) 문항수 및 유형: 매 과목당 40문제 객관식(4지선다형)
재경관리사 평가범위
과목 | 평가범위 | ||
재무회계 | 재무회계 일반 | 재무보고와 국제회계기준 | 회계의 구분, 국제회계기준의 특징 및 도입과정 |
재무회계 개념체계 | 재무제표의 기본가정, 질적특성, 재무제표의 기본요소 및 기본요소의 인식 및 측정방법 | ||
재무제표 표시 | 재무제표의 일반사항,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및 주석 | ||
기타공시 | 보고기간후사건, 특수관계자 공시, 중간재무보고 | ||
재무상태표 | 자산 | 금융자산, 재고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투자부동산의 종류 및 회계처리 | |
부채 | 금융부채, 충당부채, 우발부채의 종류 및 회계처리 | ||
자본 | 자본의 의의, 자본의 분류 및 회계처리 | ||
포괄손익 계산서 | 수익 | 수익의 의의 및 측정기준, 거래유형별 수익인식기준, 건설 계약의 회계처리 | |
비용 | 종업원 급여, 주식기준보상거래 및 법인세의 회계처리 | ||
기타사항 |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주당이익 | ||
특수회계 | 관계기업 | 관계기업의 정의 및 회계처리 | |
환율변동효과 | 외화거래의 기말환산 및 해외사업장의 환산 | ||
파생산품회계 | 파생상품의 종류 및 회계처리 | ||
리스회계 | 리스의 분류 및 회계처리 | ||
현금흐름표 | 현금흐름표의 구조, 작성절차 및 작성원칙 |
과목 | 평가범위 | ||
세무회계 | 세법의 이해 | 세법에 대한 일반적 이해 | 조세의 개념 |
조세의 종류와 성격 | |||
조세법의 기본원칙 | |||
국세기본법 | 국세기본법에 대한 이해 | 국세부과의 원칙, 세법적용의 원칙 | |
과세요건 | |||
수정신고와 경정청구 | |||
법인세 | 총설 | 법인세의 의의, 과세소득의 범위, 사업연도, 납세지 | |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 | 법인세의 계산구조 | ||
세무조정 | |||
소득처분 | |||
익금, 손금의 계산 | |||
손익의 귀속시기, 자산 · 부채의 평가 | |||
감가상각비, 기부금, 접대비, 지급이자, 충당금, 준비금 등의 세무조정 | |||
과세표준과 세액의 계산 | 과세표준의 계산 | ||
법인세 납세절차 | |||
소득세 | 종합소득세의 계산 | 소득세의 개념 | |
금융소득종합과세 | |||
종합소득금액의 계산 | |||
종합소득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 |||
퇴직소득세 | 퇴직소득세액계산 | ||
원천징수 | 원천징수의 개념 및 연말정산 | ||
양도소득세 | 양도소득세의 개념 | ||
양도소득세의 계산구조 | |||
부가가치세 | 부가가치세 개념 | 부가가치세의 개념 | |
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 | |||
부가가치세의 계산 | 영세율과 면세의 비교 | ||
과세표준과 매출세액의 계산 | |||
매입세액공제 | |||
세금계산서의 발행 | |||
가산세의 종류 및 계산 |
과목 | 평가범위 | ||
원가관리 회계 | 원가회계의 기초 |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 회계의 체계와 원가회계 |
원가의 의의 | |||
원가회계의 흐름 | 제조원가의 흐름에 대한 이해 | ||
원가배분 | 원가배분의 의의와 유형 | ||
보조부문의 제조부문으로의 원가배분 | |||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 |||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계산방법 | 개별원가계산 | 개별원가계산의 의의 | |
개별원가계산 절차의 이해 | |||
종합원가계산 |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 ||
종합원가계산 방법의 이해 | |||
원가측정 방법 | 표준원가계산의 기초 | 표준원가계산의 의의 | |
표준원가의 종류 및 표준원가의 설정 | |||
표준원가계산과 차이분석 | 차이분석의 기초 | ||
원가요소별 차이 분석 | |||
원가차이의 배분 | |||
원가계산의 범위 |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 |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의 의의 | |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의 영업이익 비교 | |||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이익의 조정 | |||
계획과 통제 | 원가 · 조업도 · 이익분석 | 손익분기점 분석 | |
목표이익 분석 | |||
기업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원가관리시스템 |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의의 | ||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절차 | |||
활동기준경영관리에 대한 이해 | |||
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 단기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 의사결정의 기초개념 | |
단기의사결정의 유형 | |||
장기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 자본예산의 의의 | ||
자본예산모형의 유형 | |||
성과평가 | 책임회계제도와 성과평가 | 책임회계제도의 책임중심점에 대한 이해 | |
분권화와 성과평가 | 판매부서에 대한 성과평가 | ||
원가중심점의 성과평가 | |||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 | |||
경제적부가가치(EVA)분석과 성과평가 | 경제적부가가치에 대한 이해 | ||
경제적부가가치에 의한 기업가치평가 및 성과평가 |
응시접수안내
- 원서는 회계관리 자격시험 홈페이지(www.SamilExam.com)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접수 하거나,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응시원서 양식에 기입하여 무통장 입금증
(응시료)과 함께 FAX(02-3781-3098)로 접수할 수 있음
- 문의: 삼일회계법인 회계관리검정사업부
Tel.(080)377-3131, (02)3781-9493
합격자발표: 회계관리자격시험 홈페이지(www.SamilExam.com)에 공고하며, ARS 자동전화 060-706-3111 또는 안내전화 080-377-3131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례 Contents
Chapter1 재무보고와 국제회계기준
1. 재무회계의 의의 / 21
1. 회계의 의의 / 21
2. 정보이용자에 따른 기업회계 구분 / 22
2.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 / 23
1. 정보수요 / 23
2. 일반목적재무보고서가 제공하는 정보 / 23
(1) 경제적 자원과 청구권 / 23
(2) 경제적 자원 및 청구권의 변동 / 24
(3) 발생주의 회계가 반영된 재무성과 / 24
(4) 과거 현금흐름이 반영된 재무성과 / 24
(5) 재무성과에 기인하지 않는 경제적 자원 및 청구권의 변동 / 25
3. 국제회계기준 / 25
1. 국제회계기준의 필요성 / 25
2. 국제회계기준의 특징 / 26
(1) 원칙중심의 회계기준 / 26
(2) 연결재무제표 중심의 회계기준 / 26
(3) 공시의 강화 / 26
(4) 공정가치 적용확대 / 26
3. 우리나라 국제회계기준의 도입 및 적용 / 27
(1) 국제회계기준의 도입 과정 / 27
(2) 국제회계기준 채택에 따른 회계기준의 체계 / 27
(3) 국제회계기준의 제정과 도입 / 28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국제회계기준 비교표 / 31
연습문제 / 34
Chapter2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를 위한 개념체계
1. 개념체계의 목적 / 36
2. 재무제표의 목적 / 37
1. 재무상태, 성과 및 재무상태변동 / 37
(1) 재무상태 및 성과 / 37
(2) 재무상태변동 / 38
2. 주석 및 부속명세서 / 38
3. 기본가정 / 39
1. 계속기업 / 39
4. 재무제표의 질적 특성 / 39
1. 근본적 질적 특성 / 40
(1) 목적적합성 / 40
(2) 충실한 표현 / 41
(3) 근본적 질적 특성의 적용 / 41
2. 모강적 질적 특성 / 42
(1) 비교가능성 / 42
(2) 검증가능성 / 42
(3) 적시성 / 42
(4) 이해가능성 / 43
(5) 보강적 질적 특성의 적용 / 43
3. 유용한 재무보고에 대한 원가제약 / 44
5. 재무제표의 기본요소 / 44
1. 재무상태 / 44
(1) 자산 / 44
(2) 부채 / 45
(3) 자본 / 46
2. 경영성과 / 46
(1) 수익 / 46
(2) 비용 / 47
6. 재무제표 요소의 인식 / 48
1. 인식기준 / 48
2. 자산의 인식 / 48
3. 부채의 인식 / 48
4. 수익의 인식 / 49
5. 비용의 인식 / 49
7.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 / 49
1. 측정 / 49
2. 측정속성의 종류 / 49
(1) 역사적원가 / 50
(2) 현행원가 / 50
(3) 실현가능가치 / 50
(4) 현재가치 / 50
연습문제 / 51
Chapter3 재무제표 작성과 표시
1. 재무제표의 의의 / 55
1. 재무제표의 목적 / 55
2. 전체 재무제표 / 56
3. 일반사항 / 56
(1) 공정한 표시와 한국채텍국제회계기준의 준수 / 56
(2) 계속기업 / 57
(3) 발생기준 회계 / 58
(4) 중요성과 통합표시 / 58
(5) 상계 / 58
(6) 보고빈도 / 59
(7) 비교정보 / 59
(8) 표시의 계속성 / 61
2. 재무제표 / 61
1.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정보 / 61
2. 재무상태표의 작성 방법 / 62
3. 유동과 비유동의 구분 / 63
(1) 유동성 분류의 사례 / 64
4. 재무상태표 또는 주석에 표시되는 정보 / 65
5. 재무상태표 양식 / 66
3. 포괄손익계산서 / 67
1.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정보 / 68
2. 포괄손익계산서 작성 / 68
(1) 당기손익항목 / 69
(2) 기타포괄손익항목 / 72
3. 포괄손익계산서 양식 / 73
(1) 단일 포괄손익계산서로 작성 / 73
(2) 별개의 손익계산서와 포괄손익계산서로 작성 / 75
4. 자본변동표 / 77
1. 자본변동표의 의의 / 77
2. 자본변동표의 기본구조 / 77
3. 자본변동표의 양식 / 78
5. 현금흐름표 / 79
6. 주석공시 / 79
7.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80
연습문제 / 81
Chapter4 보고기간후사건, 특수관계자 공시, 중간재무보고
1. 보고기간후사건 / 84
1. 개념 및 의의 / 84
2. 인식과 측정 / 85
(1) 보고기간종료일 후 사건의 구분 및 회계처리 / 85
(2) 배당금 / 86
(3) 계속기업 / 86
2. 특수관계자 공시 / 87
1. 특수관계자 공시의 목적 / 87
2.특수관계자의 범위 / 87
3. 공시 / 88
(1) 모든 기업 / 88
3. 중간재무보고 / 90
(1) 용어의 정의 / 90
(2) 중간재무보고서의 내용 / 91
(3) 인식과 측정 / 93
(4) 이전에 보고된 중간기간에 대한 재작성 / 94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과의 차이 / 95
연습문제 / 96
Chapter5 재고자산
1. 취득원가의 결정 / 98
(1) 재고자산의 의의 / 98
(2)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 100
2. 기말 재고자산의 평가 / 102
(1) 수량의 결정 / 102
(2) 재고자산의 원가흐름에 대한 가정 / 103
(3) 재고자산의 추정 / 108
(4) 저가법 평가 / 108
3.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111
연습문제 / 112
Chapter6 유형자산
1. 유형자산의 의의 및 종휴 / 118
(1) 유형자산의 의의 / 118
(2) 유형자산의 종류 / 118
2. 유형자산의 인식 / 119
(1) 인식기준 / 119
(2) 최초원가 및 후속원가 / 119
3. 유형자산의 측정 / 121
(1) 원가의 구성요소 / 121
(2) 유형자산별 원가 / 122
(3) 취득형태별 원가 / 124
4. 감가상각 / 133
(1) 감가상각의 의의 / 133
(2) 감가상각의 기본요소 / 133
(3) 회계기간별 감가상각비 계산 / 135
5. 후속측정 / 137
(1) 재평가모형의 일반 / 137
(2) 재평가시 공정가치 결정 / 138
(3) 재평가의 회계처리 / 139
6. 유형자산의 손상 / 143
(1) 자산손상의 식별 / 143
(2) 회수가능액의 측정 / 144
(3) 개별자산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의 인식 / 144
7. 차입원가 / 148
(1) 차입원가의 의의 / 148
(2) 자본화기간 / 148
(3) 자본화차입원가의 인식 / 150
8. 유형자산의 제거 / 154
(1) 유형자산처분손익의 회계처리 / 154
9.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155
연습문제 / 157
Chapter7 무형자산
1. 무형자산의 정의 / 166
2. 무형자산의 인식과 측정 / 169
(1) 인식요건 / 169
(2) 원가의 측정 / 169
(3) 자산의 교환 / 172
(4)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 / 172
(5) 탐사평가자산 / 175
(6) 웹 사이트 원가 / 176
3. 무형자산의 후속측정 / 178
(1) 인식 후의 측정 / 178
(2) 원가모형 / 178
(3) 재평가모형 / 181
(4) 재평가 회계처리 / 182
4. 무형자산의 손상 / 183
5. 무형자산의 제거 / 185
6.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185
연습문제 / 186
Chapter8 투자부동산
1. 투자부동산의 의의, 범위 및 분류 / 191
(1) 투자부동산의 의의 / 191
(2) 투자부동산의 범위 및 분류 / 191
2. 투자부동산의 인식 및 측정 / 194
3. 인식 후의 측정 / 194
(1) 원가모형 / 195
(2) 공정가치모형 / 195
4. 계정대체 / 197
5. 처분 / 201
6.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201
연습문제 / 202
Chapter9 금융자산
1. 금융상품의 의의 및 분류 / 204
1. 금융상품의 의의 / 204
2. 금융상품의 정의 / 205
(1) 금융자산의 정의 / 206
(2) 금융부채와 지분상품의 구분 / 210
3. 금융자산의 분류 / 212
(1)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213
(2) 만기보유금융자산 / 213
(3) 매도가능금융자산 / 214
(4) 대여금 및 수취채권 / 214
2. 금융자산의 측정 / 215
1. 최초 측정 / 215
(1) 공정가치 측정 / 215
(2) 거래비용 / 215
2. 최초 측정시 채무상품의 공정가치 적용 / 216
(1) 최초 측정시 채무상품의 취득원가 / 216
3. 후속측정 / 218
3. 금융자산의 손상 / 222
1.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의 인식 / 222
(1) 손상차손의 인식 / 222
(2) 손상차손환입의 인식 / 223
2. 손상차손과 손상차손환입의 회계처리 / 225
4. 재분류 / 229
5. 금융자산의 제거 / 231
1. 금융자산 제거의 판단 / 231
(1) 금융자산의 현금흐름 양도에 대한 판단 / 231
(2)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이전여부 / 232
(3) 금융자산에 대한 통제권 상실여부 / 232
2. 금융자산 제거의 회계처리 / 234
(1) 일반적인 금융자산 제거의 회계처리 / 234
(2) 관리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 234
(3) 양도자산에 대한 지속적 관여가 있는 경우 / 235
6.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39호와 제1109호와의 비교 / 237
7.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239
연습문제 / 240
Chapter10 금융부채
1. 금융부채의 분류 / 248
1.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248
2. 기타금융부채 / 249
2. 금융부채의 최초측정 및 후속측정 / 250
1. 최초측정 / 250
2. 거래비용 / 250
3. 후속측정 / 250
(1)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의 후속측정 / 250
(2) 상각후원가로 측정하지 않는 금융부채의 후속측정 / 252
4. 금융부채 회계처리 / 252
(1) 사채 / 252
(2) 자기사채 / 265
(3) 연속상환사채 / 265
(4) 금융보증계약 / 267
(5) 상환우선주 / 267
3. 금융부채의 재분류 / 269
4. 제거 / 270
5. 복합금융상품의 회계처리 / 271
1. 복합금융상품의 의의 / 271
2. 복합금융상품의 종류 / 272
3. 복합금융상품의 회계처리 / 272
4. 전환사채의 의의 / 274
(1) 전환사채의 개념 / 274
(2) 용어의 정의 / 274
5. 전환사채의 발행 및 후속 측정 / 276
(1) 전환사채의 발행에 관한 회계처리 / 276
(2) 결산시점의 회계처리 / 277
6. 전환 및 상환, 조기상환 또는 재매입 / 280
(1) 전환사채의 전환에 관한 회계처리 / 280
(2) 전환사채의 상환에 관한 회계처리 / 281
(3) 조기상환, 재매입 / 282
7. 신주인수권부사채 / 283
6.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상계 / 286
7.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287
연습문제 / 288
Chapter11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1.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의 개념 및 인식 / 299
1. 개념 / 299
(1) 충당부채 / 299
(2) 우발부채 / 299
(3) 우발자산 / 300
2. 인식 / 300
(1) 충당부채 / 300
(2) 우발부채 / 300
(3) 우발자산 / 301
2. 충당부채의 측정 / 303
1. 최선의 추정치 / 303
2. 현재가치 / 304
3. 기타사항 / 304
4. 충당부채의 변제 / 304
3. 특수한 상황 / 305
1. 미래의 예상 영업손실 / 305
2. 손실부담계약 / 305
3. 구조조정 / 305
4. 충당부채 및 우발부채의 인식에 대한 사례 / 306
1. 제품보증 / 306
2. 오염된 토지: 법률 제정이 거의 확실한 경우 / 307
3. 손실부담계약 / 307
4. 소송사건 / 308
5.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309
연습문제 / 310
Chapter12 자본
1. 자본의 기초 / 314
1. 자본의 의의 / 314
2. 주식의 종류 / 315
2. 자본거래 / 318
1. 주식의 발행 / 318
(1) 보통의 주식발행 / 318
(2) 현물출자 / 319
(3) 주식배당 / 319
(4) 무상증자 / 320
2. 주식발행초과금 / 321
(1) 개념 / 321
(2) 회계처리 / 321
3. 감자차익 / 322
(1) 개념 및 범위 / 322
(2) 회계처리 / 323
4. 자기주식처분이익 / 324
5. 주식할인발행차금 / 324
6. 배당건설이자 / 324
7. 자기주식 / 325
(1) 개념 / 325
(2) 회계처리 / 325
8. 미교부주식배당금 / 327
3. 손익거래 / 328
1. 이익잉여금의 의의 / 328
2. 이익잉여금의 분류 / 328
(1) 법정적립금 / 328
(2) 기타법정적립금 / 329
(3) 임의적립금 / 329
(4) 미처분이익잉여금 / 329
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329
(1) 의의 / 329
(2)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와 결손금처리계산서 / 330
(3) 이익잉여금처분 / 332
4. 자본변동표 / 334
1. 자본변동표의 의의 / 334
2. 자본변동표의 기본구조 / 334
3. 자본변동표의 양식 / 336
연습문제 / 337
Chapter13 수익
1. 수익의 의의 / 345
1. 수익의 정의 / 345
2. 수익의 인식기준 / 345
(1) 수익은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한다. / 345
(2) 수익은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 할 수 있는 시점에 인식한다. / 346
2. 수익의 측정 / 346
1. 원칙 / 346
2. 자산교환거래의 수익 / 346
(1) 성격과 가치가 유사한 재화나 용역간의 교환 / 346
(2) 성격과 가치가 상이한 재화나 용역간의 교환 / 346
3. 거래의 식별 / 347
1. 원칙 / 347
4. 재화의 판매 / 348
(1) 재화의 소유에 따른 유의적인 위험과 보상이 구매자에게 이전된다. / 348
(2) 판매자는 판매된 재화의 소유권과 결부된 통상적 수준의 지속적인 관리상 관여를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통제를 하지도 아니한다. / 350
(3)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 350
(4) 거래와 관련된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높다. / 350
(5)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했거나 발생할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 351
5. 용역의 제공 / 351
6. 이자, 배당금, 로열티 / 352
7. 비용의 인식 / 352
1. 비용의 의의 / 352
2. 비용의 인식기준 / 352
8. 다양한 유형의 수익인식 사례 / 353
1. 위탁매출 / 353
(1) 수익인식시점 / 353
(2) 회계처리 사례 / 353
2. 반품조건판매 / 354
3. 할부판매 / 355
(1) 개념 / 355
(2) 회계처리 / 355
4. 상품권 / 357
(1) 상품권의 개념 / 357
(2) 회계처리 / 357
5. 설치 및 검사조건부 판매 / 358
6. 임대업, 대행업, 전자쇼핑몰 등 / 358
(1) 임대업 / 358
(2) 대행업 / 358
(3) 전자쇼핑몰 / 358
7. 시용판매 / 359
8. 설치용역 수수료 / 359
9. 주문개발하는 소프트웨어의 대가 / 359
9. 고객충성제도 / 360
1. 고객충성제도의 의의 / 360
2. 고객충성제도의 회계처리 / 360
10.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364
연습문제 / 365
Chapter14 건설계약
1. 건설계약의 의의 / 369
2. 계약수입 / 370
1. 계약수익의 구성 / 370
2. 계약수익의 측정 / 370
3. 공사변경 / 371
4. 보상금 / 371
5. 장려금 / 371
3. 계약원가 / 372
1. 계약원가 구성 항목 및 제외 항목 / 372
2. 계약체결 전 발생비용 / 374
3. 하자보수비 / 374
4. 계약수익과 비용의 인식 / 375
1. 인식기준 / 375
2. 진행률의 측정 / 376
3. 진행기준 적용의 회계처리 / 377
(1) 계약수익과 계약원가의 인식 / 377
(2) 계약원가 발생의 회계처리 / 378
5. 건설계약의 분할과 병합 / 382
1. 건설계약의 분할 / 382
2. 건설계약의 병합 / 383
6. 손실이 예상되는 경우 수익인식 / 383
7. 정상적인 진행기준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 386
8.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387
연습문제 / 388
Chapter15 종업원급여
1. 종업원급여의 의의 / 393
2. 단기종업원급여 / 393
1. 단기종업원급여의 범위 / 393
2. 인식과 측정 / 394
(1) 모든 단기종업원급여 / 394
(2) 단기유급휴가 / 395
(3) 이익분배제도 및 상여금제도 / 397
3. 퇴직급여 / 398
1. 퇴직급여의 의의와 퇴직급여제도의 종류 / 398
2. 확정기여제도 / 399
(1) 의의 및 특성 / 399
(2) 회계처리 / 399
3. 확정급여제도 / 401
(1) 의의 및 특성 / 401
(2) 회계처리 / 402
4.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409
1. 기타장기종업원급여의 범위 / 409
2. 인식 및 측정 / 409
5. 해고급여 / 410
1. 해고급여의 의의 / 410
2. 인식과 측정 / 410
6.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과 일반기업회계기준간의 차이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