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관리사-원가관리회계 도서 안내
Foreword 머리말
회계의 투명성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기업에서도 회계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신규직원 채용시기업에서는 어느 정도 실력이 검증된 사람을 찾으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반면, 회계실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제도가 미흡하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또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과정이 실무와 상당한 차이가 있어서 기업에서는 신규직원 채용 후 재교육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희 삼일회계법인은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재경전문가를 양성하는 국가공인 회계관리자격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회계관리자젹제도는 수준에 따라 회계관리2급, 회계관리1급, 재경관리사로 나뉘어집니다.
먼저 회계관리2급은 전사원의 회계마인드 함양을 위하여 기업의 의사소통 수단인 회계의 기초지식을 검증하는 단계로서 재무제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분석능력을 습득하였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입니다.
다음으로 회계관리1급은 회계실무자를 대상으로 재무회계와 세무회계에 대한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하여 기업의 실무책임자 또는 관리자로서 전반적인 회계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재경인을 선발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재경관리사는 회계관리자격제도의 최상위단계로서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등 재경업무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식과 실무능력을 겸비하여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의 전반적인 관리책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재경전문가를 선발하는 과정입니다.
본서는 상기 회계관리자격제도 중 재경전문가를 선발하는 재경관리사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대상으로 원가괸리회계의 내용을 실무중심의 다양한 사례와 함꼐 알기 쉽게 설명한 교재입니다.
본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원가괸리회계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원가행태, 원가대상, 원가배부기준, 원가계산제도, 계획과 통제, 의사결정, 성과평가분야로 나누어 경영의사 결정에 필요한 분석기법들을 체계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둘째, 개별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등 실무에서 제조원가계산시 사용하는 원가계산방법에 대하여 원가계산흐름에 따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셋째, 회계업무의 간소화와 원가보고의 신속성을 위해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는 표준원가계산에 관하여 비목별 표준원가산정방법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넷째, 경영관리목적으로 활용되는 변동원가계산과 외부보고목적으로 활용되는 전부원가계산을 실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비교 · 분석하여 알기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다섯째, 원가행태에 대한 분석과 원가-조업도-이익분석방법을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였습니다.
여섯째, 원가정보를 활용한 의사결정방법을 단기의사결정과 장기의사결정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사례와 함께 알기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일곱째, 기업가치극대화를 위한 성과평가모형으로 실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EVA(경제적부가가치)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알기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본서는 재경관리사 시험에 대비한 교재이지만, 그 동안 저희 삼일회계법인이 쌓아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중심의 사례를 곁들여 알기 쉽게 설명하였기 때문에 재경분야에서 실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관리자들도 업무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끝으로 이 책이 나오기까지 수고해주신 집필진 여러분께 심심한 사의를 표하며, 본 책자가 재경관리사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앞당기는 길잡이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삼일회계법인 회장 안 경 태
Information 재경관리사 자격시험 안내
국가공인 회계관리자격제도란?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재경분야의 전문가임을 인증하는 자격시험제도입니다. 시험은 수준에 따라 회계관리2급, 회계관리1급, 재경관리사로 구분됩니다.
자격기준 개요
1) 회계관리2급: 회계의 기초지식과 재무제표에 대하 기본적인 이해 및 분석능력을 검증합니다.
2) 회계관리1급: 재무회계, 세무회계에 관한 지식을 갖춘 기업의 회계실무자 및 중간관리자로서 회계전반에 걸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 평가 검증합니다.
3) 재경관리사: 제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등 재경전반의 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춘 기업내 재경전문가로서 기업의 종합적인 관리책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평가 검증합니다.
시험안내
1. 회계관리2급
1) 시험일자: 연 5회 실시
2) 응시자격: 연령, 학력, 경력 제한 없음
3) 시험과목: 회계원리
4) 합격기준: 70점(100점 만점) 이상
5) 문항수 및 유형: 40문제 객관식(4지선다형)
2. 회계관리1급
1) 시험일자: 연 5회 실시
2) 응시자격: 연령, 학력, 경력 제한 없음
3) 시험과목: 재무회계, 세무회계
4) 합격기준: 전과목 과목별 70점(100점 만점) 이상
5) 문항수 및 유형: 매 과목당 40문제 객관식(4지선다형)
3. 재경관리사
1) 시험일자: 연 5회 실시
2) 응시자격: 연령, 학력, 경력 제한 없음
3) 시험과목: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4) 합격기준: 전과목 과목별 70점(100점 만점) 이상
5) 문항수 및 유형: 매 과목당 40문제 객관식(4지선다형)
재경관리사 평가범위
과목 | 평가범위 | ||
재무회계 | 재무회계 일반 | 재무보고와 국제회계기준 | 회계의 구분, 국제회계기준의 특징 및 도입과정 |
재무회계 개념체계 | 재무제표의 기본가정, 질적특성, 재무제표의 기본요소 및 기본요소의 인식 및 측정방법 | ||
재무제표 표시 | 재무제표의 일반사항,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및 주석 | ||
기타공시 | 보고기간후사건, 특수관계자 공시, 중간재무보고 | ||
재무상태표 | 자산 | 금융자산, 재고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투자부동산의 종류 및 회계처리 | |
부채 | 금융부채, 충당부채, 우발부채의 종류 및 회계처리 | ||
자본 | 자본의 의의, 자본의 분류 및 회계처리 | ||
포괄손익 계산서 | 수익 | 수익의 의의 및 측정기준, 거래유형별 수익인식기준, 건설 계약의 회계처리 | |
비용 | 종업원 급여, 주식기준보상거래 및 법인세의 회계처리 | ||
기타사항 |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주당이익 | ||
특수회계 | 관계기업 | 관계기업의 정의 및 회계처리 | |
환율변동효과 | 외화거래의 기말환산 및 해외사업장의 환산 | ||
파생산품회계 | 파생상품의 종류 및 회계처리 | ||
리스회계 | 리스의 분류 및 회계처리 | ||
현금흐름표 | 현금흐름표의 구조, 작성절차 및 작성원칙 |
과목 | 평가범위 | ||
세무회계 | 세법의 이해 | 세법에 대한 일반적 이해 | 조세의 개념 |
조세의 종류와 성격 | |||
조세법의 기본원칙 | |||
국세기본법 | 국세기본법에 대한 이해 | 국세부과의 원칙, 세법적용의 원칙 | |
과세요건 | |||
수정신고와 경정청구 | |||
법인세 | 총설 | 법인세의 의의, 과세소득의 범위, 사업연도, 납세지 | |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 | 법인세의 계산구조 | ||
세무조정 | |||
소득처분 | |||
익금, 손금의 계산 | |||
손익의 귀속시기, 자산 · 부채의 평가 | |||
감가상각비, 기부금, 접대비, 지급이자, 충당금, 준비금 등의 세무조정 | |||
과세표준과 세액의 계산 | 과세표준의 계산 | ||
법인세 납세절차 | |||
소득세 | 종합소득세의 계산 | 소득세의 개념 | |
금융소득종합과세 | |||
종합소득금액의 계산 | |||
종합소득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 |||
퇴직소득세 | 퇴직소득세액계산 | ||
원천징수 | 원천징수의 개념 및 연말정산 | ||
양도소득세 | 양도소득세의 개념 | ||
양도소득세의 계산구조 | |||
부가가치세 | 부가가치세 개념 | 부가가치세의 개념 | |
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 | |||
부가가치세의 계산 | 영세율과 면세의 비교 | ||
과세표준과 매출세액의 계산 | |||
매입세액공제 | |||
세금계산서의 발행 | |||
가산세의 종류 및 계산 |
과목 | 평가범위 | ||
원가관리 회계 | 원가회계의 기초 |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 회계의 체계와 원가회계 |
원가의 의의 | |||
원가회계의 흐름 | 제조원가의 흐름에 대한 이해 | ||
원가배분 | 원가배분의 의의와 유형 | ||
보조부문의 제조부문으로의 원가배분 | |||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 |||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계산방법 | 개별원가계산 | 개별원가계산의 의의 | |
개별원가계산 절차의 이해 | |||
종합원가계산 |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 ||
종합원가계산 방법의 이해 | |||
원가측정 방법 | 표준원가계산의 기초 | 표준원가계산의 의의 | |
표준원가의 종류 및 표준원가의 설정 | |||
표준원가계산과 차이분석 | 차이분석의 기초 | ||
원가요소별 차이 분석 | |||
원가차이의 배분 | |||
원가계산의 범위 |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 |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의 의의 | |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의 영업이익 비교 | |||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이익의 조정 | |||
계획과 통제 | 원가 · 조업도 · 이익분석 | 손익분기점 분석 | |
목표이익 분석 | |||
기업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원가관리시스템 |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의의 | ||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절차 | |||
활동기준경영관리에 대한 이해 | |||
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 단기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 의사결정의 기초개념 | |
단기의사결정의 유형 | |||
장기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 자본예산의 의의 | ||
자본예산모형의 유형 | |||
성과평가 | 책임회계제도와 성과평가 | 책임회계제도의 책임중심점에 대한 이해 | |
분권화와 성과평가 | 판매부서에 대한 성과평가 | ||
원가중심점의 성과평가 | |||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 | |||
경제적부가가치(EVA)분석과 성과평가 | 경제적부가가치에 대한 이해 | ||
경제적부가가치에 의한 기업가치평가 및 성과평가 |
응시접수안내
- 원서는 회계관리 자격시험 홈페이지(www.SamilExam.com)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접수 하거나,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응시원서 양식에 기입하여 무통장 입금증
(응시료)과 함께 FAX(02-3781-3098)로 접수할 수 있음
- 문의: 삼일회계법인 회계관리검정사업부
Tel.(080)377-3131, (02)3781-9493
합격자발표: 회계관리자격시험 홈페이지(www.SamilExam.com)에 공고하며, ARS 자동전화 060-706-3111 또는 안내전화 080-377-3131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례 Contents
Chapter1 원가회계의 기초
제1절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 21
1. 회계의 체계와 원가회계 / 21
1. 회계의 체계 / 21
(1) 재무회계 / 22
(2) 관리회계 / 22
2. 원가회계의 의의 / 23
(1) 원가회계의 위치 / 23
(2) 원가회계의 영약 / 24
(3) 원가회계와 관리회계 / 25
3. 원가회계의 한계점 / 26
(1) 원가회계 정보의 한계 / 26
(2) 회계절차 적용의 어려움 / 27
(3)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원가정보 제공의 한계 / 27
(4) 비용과 효익의 분석 / 27
2. 원가의 의의 / 27
1. 원가의 개념 / 27
2. 원가의 특성 / 28
(1) 경제적 가치 / 28
(2) 정상적인 소비액 / 28
(3) 물품이나 서비스의 소비액 /29
(4) 경제활동에서 발생한 것 / 29
3. 원가회계와 관련된 기본개념 / 29
(1) 원가대상 / 30
(2) 원가집합 / 31
(3) 원가배분 / 31
(4) 원가행태 / 31
(5) 원가동인 / 31
(6) 조업도 / 32
(7) 관련범위 / 32
4. 원가의 분류 / 32
(1)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 / 33
(2) 추적가능성에 다른 분류 / 35
(3) 제조활동에 따른 제조원가의 행태별 분류 / 36
(4) 수익과의 대응관계에 따른 분류 / 37
(5) 의사결정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38
(6) 자산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39
(7) 통제가능성에 따른 분류 / 40
(8) 시점에 따른 분류 / 40
제2절 원가회계의 흐름 / 42
1. 제조원가의 흐름 / 42
1. 제조기업의 경영활동 / 42
(1) 구매과정 / 42
(2) 제조과정 / 43
(3) 판매 및 재고과정 / 43
2. 원가의 3요소 / 43
(1) 직접재료원가 / 43
(2) 직접노무원가 / 44
(3) 제조간접원가 / 45
3. 제조원가의 계산/ 45
(1) 재공품 / 45
(2) 제품 / 45
(3) 당기총제조원가 / 46
(4) 당기제품제조원가 / 46
(5) 매출원가 / 46
Chapter2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계산방법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
제1절 개별원가계산 / 111
1. 개별원가계산의 의의 / 111
1. 원가계산제도 / 111
2. 개별원가계산의 개요 / 112
3.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비교 / 113
4. 개별원가계산의 장단점 / 114
2. 개별원가계산의 절차 / 114
1. 개별원가계산의 일반적 절차 /114
2. 작업지시서와 작업원가표 / 115
(1) 작업지시서 / 115
(2) 작업원가표 / 116
3. 원가의 집계 / 118
(1) 직접재료원가 / 119
(2) 직접노무원가 / 121
(3) 제조간접원가 / 122
연습문제 / 125
제2절 종합원가계산 / 133
1. 종합원가계산의 기초 / 133
1.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 133
2. 종합원가계산의 흐름 / 134
3. 종합원가계산의 특징 / 134
4. 종합원가계산의 장 · 단점 / 135
5. 종합원가계산의 개별원가계산의 비교 / 136
2.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 137
1. 물량흐름의 파악 / 137
2. 완성품환산량 계산 / 138
3. 원가배분대상액의 파악 / 140
4. 원가요소별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계산 / 141
5.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계산 / 141
3. 종합원가계산의 회계처리 / 143
4. 종합원가계산의 방법 / 144
1. 평균법 / 144
(1) 평균법의 개념 / 144
(2) 평균법의 절차 / 145
2. 선입선출법 / 148
(1) 선입선출법의 개념 / 148
(2) 선입선출법의 절차 / 149
3.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의 비교 / 152
연습문제 / 154
Chapter3 원가측정법
(표준원가계산)
제1절 표준원가계산의 기초 / 165
1. 표준원가계산의 의의 / 165
1. 실제원가계산제도의 문제점 / 165
2. 표준원가계산 / 166
2. 표준원가계산의 목적 / 167
1. 원가관리와 통제 / 167
2. 예산평성 / 167
3. 재무제표작성 / 168
4. 회계업무의 간소화 및 원가보고의 신속성 / 168
3. 표준원가계산의 한계 / 168
4. 표준원가의 종류 / 169
1. 이상적 표준 / 170
2. 정상적 표준 / 170
3. 현실적 표준 / 170
5. 표준원가의 설정 / 171
1. 표준직접재료원가 / 171
(1) 제품단위당 표준직접재료수량 / 172
(2) 재료단위당 표준가격 / 172
2. 표준직접노무원가 / 172
(1) 제품단위당 표준작업시간 / 172
(2) 시간당 표준임률 / 173
3. 표준제조간접원가 / 173
(1) 표준변동제조간접원가 / 174
(2) 표준고정제조간접원가 / 174
4. 표준원가표 / 174
제2절 표준원가계산과 차이분석 / 176
1. 차이분석의 기초 / 176
1. 유리한 차이와 불리한 차이 / 176
2. 가격차이와 능률차이 / 177
2. 원가요소별 차이분석 / 178
1. 직접재료원가차이 / 178
(1) 직접재료원가 가격차이 / 178
(2) 직접재료원가 능률차이 / 180
(3) 차이의 발생원인 / 180
2. 직접노무원가차이 / 183
3. 변동제조간접원가차이 / 185
(1) 소비차이 / 186
(2) 능률차이 / 187
(3) 차이의 발생원인 / 187
4. 고정제조간접원가차이 / 188
(1) 예산차이 / 188
(2) 조업도차이 / 188
(3) 차이의 발생원인 / 190
3. 제조간접원가차이의 분석방법 / 192
1. 4분법 / 192
2. 3분법 / 193
3. 2분법 / 194
4. 총괄적 분석법 / 195
4. 원가차이의 배분 / 196
1. 비배분법 / 196
(1) 매출원가조정법 / 196
(2) 영업외손익법 / 196
2. 비례배분법 / 197
(1) 총원가 비례배분법(total cost method) / 197
(2) 원가요소별 비례배분법(cost element method) / 198
5. 원가차이의 개선방안 / 198
연습문제 / 203
Chapter4 원가계산의 범위
제1절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 / 221
1.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의 의의 / 221
1. 변동원가계산 / 221
2. 전부원가계산 / 222
3. 초변동원가계산 / 224
4. 원가시스템의 요약 / 226
(1) 원가시스템의 조합 / 226
(2) 각 원가계산방법하의 재고자산의 구성요소 / 227
2. 변동원가계산의 유용성과 한계 / 228
1. 변동원가계산의 유용성 / 228
2. 변동원가계산의 한계 / 229
3. 초변동원가계산의 유용성과 한계 / 230
1. 초변동원가계산의 유용성 / 230
2. 초변동원가계산의 한계 / 230
3. 각 원가계산방법의 차이점 요약 / 231
4. 각 원가계산방법의 영업이익 비교 / 231
1. 생산량이 일정할 떄 판매량의 변동과 영업이익의 변화 / 232
(1) 생산량과 판매량이 같은 경우 / 232
(2) 생산량이 판매량보다 많은 경우 / 234
(3) 생산량이 판매량보다 적은 경우 / 236
2. 판매량이 일정할 때 생산량의 변동과 영업이익의비교 / 238
5.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이익의 조정 / 242
6. 초변동원가계산과 변동. 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이익의 조정 / 243
1. 변동원가계산을 포함한 영업이익 전환 / 243
2. 초변동원가계산의 영업이익에서 전부원가계산의 영업이익으로 직접 전환 / 244
7. 전부원가계산에서의 조업도차이 / 244
1.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 / 244
2. 조업도차이 / 245
연습문제 / 254
Chapter / 계획과 통제
제1절 원가 · 조업도 · 이익분석 / 269
1. 원가 · 조업도 · 이익분석의 개요 / 269
2. CVP분석의 가정 및 한계 / 270
3. CVP분석의 기본개념 / 271
1. 공헌이익 / 271
2. 공헌이익률 / 273
4. CVP분석 / 275
1.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 : BEP) 계산 / 275
(1) 등식을 이용한 손익분기점 계산 / 275
(2) 도표를 통한 손익분기점 계산 / 276
2. 목표이익(target net income) 분석 / 278
3. 안전한계 / 280
4. 영업레버리지 / 281
연습문제 / 284
제2절 기업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원가관리시스템 / 292
1. 활동기준원가계산 / 292
1.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의의 / 292
2. 활동기준원가계산의 도입배경 / 292
(1) 전통적 배부기준에 대한 비판(새로운 배부기준의 필요성) / 292
(2) 직접노무원가의 감소, 제조간접원가의 증가 / 293
(3) 원가개념의 확대 - 제품수명주기 원가계산의 증가 / 293
(4) 정보수집기술의 발달 / 294
3.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절차 / 294
4.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장 · 단점 / 296
2. 활동기준경영관리 / 300
1. 활동기준경영관리의 의의 / 301
(1) 활동기준경영관리의 목표 / 301
(2) 활동기준경영관리의 수행단계 / 302
2. 활동기준경영관리의 실행수단 / 303
(1) 전략분석(strategic analysis) / 303
(2) 가치분석 / 304
(3) 원가분석 / 305
(4) 활동기준예산(Activity-based-budgeting) / 305
3. 수명주기원가계산(Life - Cycle Costing:LCC) / 308
1. 수명주기원가계산의 정의 / 308
2. 대두배경 / 308
3. 가치사슬관점과의 관계 / 309
4. 유용성 / 309
4. 품질원가관리 / 310
1. 품질원가관리의 의의 / 310
2. 품질원가의 측정목적 / 310
3. 품질원가의 종류 / 311
4. 품질원가 최소화에 대한 두 관점 / 312
연습문제 / 316
Chapter6 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제1절 단기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 325
1. 의사결정의 유형 / 325
2. 의사결정과정 / 326
3. 의사결정의 기초개념 / 327
1. 매몰원가 / 327
2. 기회원가 / 327
3. 관련원가 / 328
4. 의사결정의 접근방법 / 329
1. 총액접근법 / 329
2. 증분접근법 / 329
5. 단기의사결정의 유형 / 331
1. 특별주문의 수락 또는 거부 / 331
2. 제품라인의 유지 또는 폐지 / 333
3. 부품의 자가제조 또는 외부구입 / 335
4. 결합제품의 즉시판매 또는 추가가공 여부의 결정 / 337
5. 제품가격결정 / 338
(1) 가격결정의 의의 / 338
(2)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338
(3) 가격결정방법 / 339
6. 특별가격결정 / 346
(1) 신제품의 가격결정 / 346
(2) 입찰가격 / 346
(3) 약탈적 가격정책(predatory pricing) / 346
제2절 대체가격결정 / 347
1. 대체가격의 개요 / 347
1. 대체가격의 의의 / 347
2. 대체가격결정시 고려할 기준 / 348
(1) 목표일치성기준 / 348
(2) 성과평가기준 / 348
(3) 자율성기준 / 348
2. 대체가격의 결정 / 349
1. 대체가격의 결정방법 / 349
(1) 시장가격기준 / 349
(2) 원가기준 / 349
(3) 협상가격기준 / 350
2. 대체가격결정의 일반원칙 / 351
(1) 수요사업부의 최대대체가격 / 351
(2) 공급사업부의 최소대체가격 / 352
(3) 기업 전체의 이익에 미치는 효과 / 355
연습문제 / 357
제3절 장기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자본예산) / 369
1. 자본예산의 의의 / 369
2. 자본예산의 특징 / 369
3. 자본예산의 과정 / 370
4. 현금흐름의 추정 / 370
1. 현금흐름의 개념 / 370
2. 현금흐름추정의 기본원칙 / 371
(1) 증분기준 / 371
(2) 감가상각비(depreciation expense) / 371
(3) 세후기준(after-tax basis) / 371
(4) 이자비용(financial cost) / 372
(5) 인플레이션(inflation) / 372
3. 현금흐름의 추정 / 372
(1) 투자시점의 현금흐름 / 373
(2) 영업기간의 현금흐름 / 373
(3) 투자종료시점의 현금흐름 / 374
5. 자본예산모형 / 376
1. 화폐의 시간적가치(the time value of money) / 378
(1) 화폐의 시간적가치 / 378
(2) 단일현금의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 378
(3) 연금의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 379
2. 회수기간법 / 380
(1) 회수기간법의 개요 / 380
(2) 의사결정 기준 / 381
(3) 회수기간법의 장점 / 381
(4) 회수기간법의 단점 / 382
3. 회계적 이익률법 / 383
(1) 회계적 이익률법의 개요 / 383
(2) 의사결정기준 / 384
(3) 회계적 이익률법의 장점 / 384
(4) 회계적 이익률법의 단점 / 384
4. 순현재가치법 / 386
(1) 순현재가치법의 개요 / 386
(2) 순현재가치의 계산 / 386
(3) 의사결정기준 / 386
(4) 순현재가치법의 장점 / 387
(5) 순현재가치법의 단점 / 387
5. 내부수익률법 / 388
(1) 내부수익률법의 개요 / 388
(2) 내부수익률의 계산 / 389
(3) 의사결정기준 / 390
(4) 내부수익률법의 장점 / 390
(5) 내부수익률법의 단점 / 390
6. 순현재가치법(NPV법)과 내부수익률법(IRR법)의 비교 / 391
(1) 순현재가치법의 우위성 / 391
7. 수익성지수법 / 392
연습문제 / 395
Chapter7 성과평가
제1절 책임회계제도와 성과평가 / 405
1. 책임회계제도의 의의 / 405
2. 책임회계제도의 전제조건 / 405
3. 책임회계제도의 장점 / 406
4. 원가의 통제가능성과 책임범위 / 407
1. 원가의 통제가능성 / 407
2. 책임범위 / 407
5. 고정예산과 변동예산 / 408
1. 고정예산 / 408
2. 변동예산 / 409
6. 책임중심점의 종류 / 409
1. 원가중심점 / 410
2. 수익중심점 / 410
3. 이익중심점 / 410
4. 투자중심점 / 411
7. 성과평가 / 412
1. 성과평가의 의의 / 412
2. 성과보고서 / 412
3. 성과평가시 고려해야 할 사항 / 413
(1) 목표일치성 / 413
(2) 성과평가의 오차 / 413
(3) 적시성과 경제성 / 413
(4) 각 책임중심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 413
4. 사업부별 성과평가 / 414
(1) 성과평가측정치로서의 이익 / 414
(2) 이익지수 / 414
(3) 공헌이익 손익계산서 / 416
연습문제 / 417
제2절 분권화와 성과평가 / 421
1. 분권화의 의의 / 421
2. 분권화의 효익 / 421
3. 분권화의 문제점 / 422
4. 대리이론과 경영자 보상계획 / 423
1. 대리이론 / 423
2. 경영자 보상계획 / 423
5. 판매부서의 성과평가 / 424
1. 수익중심점 및 이익중심점으로서의 판매부
서 / 424
2. 판매부서의 성과보고서 / 424
3. 매출가격차이와 매출조업도차이 / 425
4. 매출배합차이와 매출수량차이 / 427
5. 시장점유율차이와 시장규모차이 / 428
6. 원가중심점의 성과평가 / 431
1. 배합차이 / 431
2. 수율차이 / 432
7.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 / 433
1. 투자중심점 성과평가의 개요 / 433
2. 투자수익률 / 433
(1) 투자수익률의 의의 / 433
(2) 투자수익률의 계산 / 434
(3) 투자수익률의 장점 / 434
(4) 투자수익률 적용시 유의사항 / 435
(5) 투자수익률의 증대방안 / 435
3. 잔여이익 / 437
(1) 잔여이익의 의의 / 437
(2) 잔여이익의 계산 / 437
(3) 잔여이익의 장점 / 438
(4) 잔여이익의 단점 / 438
8. 균형성과표 / 442
1. 균형성과표의 의의 / 442
2. 균형성과표의 도입배경 / 442
3. 기존 성과측정지표와의 차이 / 443
4. 균형성과표의 네 가지 관점 / 443
(1) 재무적 관점 / 443
(2) 고객관점 / 444
(3) 내부프로세스 관점 / 445
(4) 학습과 성장 관점 / 445
5. 균형성과표의 장 · 단점 / 447
연습문제 / 451
제3절 경제적부가가치(EVA) 분석과 성과평가 / 458
1. 경제적부가가치(EVA)의 의의 / 458
1. EVA에 의한 성과평가의 중요성 및 도입배경 / 458
(1) 손익중심(Accounting Based)성과지표의 한계 / 458
(2) 현금흐름(Cash Based)지표의 중요성 부각 / 459
(3) 자본비용 및 자본효율도가 반영된 수익성 지표인 EVA / 459
(4) EVA는 글로벌 경여을 향한 척도 / 460
2. EVA의 개념 / 460
3. 기업의 종합지표로서의 EVA / 461
2. 경제적부가가치(EVA)의 산출 / 462
1. EVA 계산의 기본 원칙 / 462
(1) 이론적 측면 / 462
(2) 실무적 측면 / 462
2. EVA 산출의 단계 / 463
3. 투하자본의 측정 / 464
4. 자본비용의 측정 / 468
5. 세후순영업이익(NOPLAT)의 계산 / 471
6. EVA 계산시 유의사항 / 473
7. 산출된 EVA의 의미 / 474
3. EVA의 활용 및 한계 / 475
1. EVA를 통한 기업가치평가 / 475
2. EVA에 의한 성과평가 / 475
(1) EVA에 의한 성과평가의 의의 / 476
(2) 성과평가에 기반한 EVA 증대방안 / 476
3. 재무적 관점과 관리회계적 관점의 EVA의 활용 / 477
4. EVA 적용의 한계 / 478
(1) 이익조작의 가능성 / 478
(2) 장부가액과 공정가액의 차이 / 478
(3) 자기자본비용의 산정 / 479
(4) EVA의 해석상의 한계 / 479
(5) 비재무적인 가치창출요소 무시 / 479
연습문제 / 484
연습문제 정답 및 해설 / 491
모의고사 / 527
모의고사 정답 및 해설 /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