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원가진단에 있어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인 High-Low Method에 대하여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High-Low Method는 Volume에 따라 움직이는 Pure Variable Cost가 발생함에 따라 Volume에 따른 고점과 저점을 기준으로 평균단가를 구한 후 다시 Volume에 따른 Pure Variable Cost와 비교하여 차이 분석을 하는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기업에서 High-Low Method를 왜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B.E.P.분석에서는 Production이 증가함에 따라 Sales가 늘어나기 때문에 이에 따른 Pure Variable도 비례하여 증가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산술적으로 Contribution Margin은 항상 일정할 수 밖에 없으므로 다른 말로 Marginal Profit이라고도 부릅니다.
그렇다면 Contribution Margin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Pure Variable Cost를 관리할 수 밖에 없는데 Pure Variable Cost는 Volume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Volume도 함께 관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Volume에 따라 Pure Variable Cost가 일정하지 않다면 문제가 있게 됩니다.
즉, 어느 달에 문제가 있어 Volum과 비례하지 않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High-Low Method는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 매월 Costing을 하다보면 Pure Variable Cost가 낭비되고 있는지를 한번에 확인해 볼 수 있게 됩니다.
아울러 High-Low Method의 큰 장점은 생산관리와 원가관리의 2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내일은 High-Low Method를 원가진단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적용한 사례를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igh-Low Method에 대한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다음의 연락처로 연락주세요.
한국경영회계연구원 / ☎010-2246-3953 / 조현석 원장
'원가진단사--★☆ > 원가진단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gh-Low Method Vol2 (0) | 2019.05.14 |
---|---|
손익분기점 분석 및 매트릭스 분석 (0) | 2019.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