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기업들과 현대인들에게 '개선과 혁신이라는 키워드 중 어떤 것을 선호합니까?'라는 질문을 하면 여지없이 '혁신'을 답할 것이다. 이렇듯
대부분의 기업들은 생존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경영혁신을 필수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ERP 시스템은 경영혁신의 실행 과정에
있어 핵심적인 전략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업정보화의 중심에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은 국내 최초로 국가가 인정한 비즈니스 전문 자격시험으로 '실무와 취업에 강한 자격증'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저자는 수년간 실무 및 학계에서 핵심 ERP를 강의하면서 ERP 실무와 자격증 취득을 위한 수험서로서의 역할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교재가
마땅히 없어서 아쉬움이 많았다.
본 교재는 기업실무에서 다년간 ERP를 구축한 사례와 오랜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하여 실무자에게는 ERP 실무 적응에 도움을 주며,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는 합격을 보장하는 지침서가 될 것이다.
본 교재의 특징은
첫째,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범위에서 수험생들이 학습하기에 다소 어려운 내용을 되도록 알기 쉽게 설명하면서
자격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내용을 별도로 정리하여 강조하였다.
둘째, 더존 IT그룹이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는 핵심ERP 실습을 교육현장에서도 쉽게 잡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를 제공하였으며, 사례
실습을 통해 ERP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능과 프로세스를 익혀 실무에서의 적응 및 응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수년간의 자격시험 기출문제를 철저히 분석하여 충분한 유형별 예제와 최근 기출문제를 수록하여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에 대비
하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맞추어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교재가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일조하여 ERP 전문인력으로 거듭나 성공적으로 사회진출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끝으로 본 교재를 출간하게 해주신 삼일인포마인 송상근 대표이사님을 비롯한 관계자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 계속 노력하여 보다
충실한 교재로 거듭날 것을 약속하며, 독자들의 충고와 질책을 바라는 바이다.
2015. 3
저자 일동
1. ERP 정보관리사란?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은 한국생산성본부가 주관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기업정보화의 핵심인 ERP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실무적 지식을 습득하여 ERP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공인 자격시험이다.
2. 시험일정
2015년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 일정표 | |||||
회차 |
시험일 |
인터넷접수 |
방문접수 |
수험표공고 |
합격자공고 |
제1회 |
01.24 |
14.12.24 ~ 12.30 |
14.12.31 |
15.01.15 |
15.02.10 |
제2회 |
03.28 |
02.25 ~ 03.03 |
03.04 |
03.19 |
04.14 |
제3회 |
05.23 |
04.22 ~ 04.28 |
04.29 |
05.14 |
06.09 |
제4회 |
07.25 |
06.24 ~ 06.30 |
07.01 |
07.16 |
08.11 |
제5회 |
09.19 |
08.19 ~ 08.25 |
08.26 |
09.10 |
10.06 |
제6회 |
11.28 |
10.28 ~ 11.03 |
11.04 |
11.19 |
12.15 |
3. 시험일정
교시 |
구분 |
시험시간 |
과목 |
응시자격 |
1교시 |
이론 |
40분 |
회계 1급, 회계 2급 생산 1급, 생산 2급 (위 과목 중 택1) |
응시제한 없음 |
실무 |
40분 | |||
2교시 |
이론 |
40분 |
인사 1급, 인사 2급 물류 1급, 물류 2급 (위 과목 중 택1) | |
실무 |
40분 |
- 시험방식: CBT(Computer Based Testing) 및 IBT(Internet Based Testing) 방식
- 실무능력평가 솔루션은 더존비즈온의 핵심 ERP와 영림원의 K System 중 선택
- 간은 교시의 응시과목은 동시신청 불가(예: 회계, 생산모듈은 동시 응시 불가)
4. 합격기준
구분 |
합격점수 |
문항 수 |
1급 |
70점 이상(이론 및 실무 각 60점 이상 시 합격) |
이론 32문항, 실무 30문항 (인사모듈 이론은 33문항) |
2급 |
60점 이상(이론 및 실무 각 40점 이상 시 합격) |
이론 20문항, 실무 20문항 |
5. 응시료 및 납부방법
구분 |
1과목 |
2과목 |
응시료 납부방법 |
1급 |
37,000원 |
65,000원 |
전자결제 |
2급 |
25,000원 |
40,000원 |
- 동일등급 2과목 응시 시 응시료 할인(단, 등급이 다를 경우 개별적인 응시료 적용)
6. ERP 정보관리사 출제기준
▶ 물류 1급
구분 |
과목 |
배점 |
문항별 점수 X 문항수 |
이론 |
경영혁신과 ERP |
10 |
2점(객관식) x 5문항 |
영업관리 |
23 |
3점(객관식) x 5문항 / 4점(주관식 x 2문항 | |
자재관리 |
24 |
3점(객관식) x 4문항 / 4점(주관식) x 3문항 | |
구매관리 |
23 |
3점(객관식) x 5문항 / 4점(주관식) x 2문항 | |
무역관리 |
20 |
3점(객관식) x 4문항 / 4점(주관식) x 2문항 | |
소 계 |
100 |
2점(객관식) x 5문항 / 3점(객관식) x 18문항 / 4점(주관식) x 9문항 | |
실무 |
ERP 물류모듈 기본정보관리 |
12 |
3점(객관식) x 4문항 |
ERP 영업관리 |
18 |
3점(객관식) x 6문항 | |
ERP 구매/재고관리 |
18 |
3점(객관식) x 6문항 | |
ERP 무역관리 |
12 |
3점(객관식) x 4문항 | |
ERP 물류모듈 시뮬레이션 |
40 |
4점(객관식) x 10문항 | |
소 계 |
100 |
3점(객관식) x 20문항 / 4점(객관식) x 10문항 |
▶ 생산 1급
구분 |
과목 |
배점 |
문항별 점수 X 문항수 |
이론 |
경영혁신과 ERP |
10 |
2점(객관식) x 5문항 |
생산계획/통제 |
23 |
3점(객관식) x 5문항 / 4점(주관식 x 2문항 | |
공정관리 |
24 |
3점(객관식) x 4문항 / 4점(주관식) x 3문항 | |
자재소요/생산능력계획 |
23 |
3점(객관식) x 5문항 / 4점(주관식) x 2문항 | |
품질관리 |
20 |
3점(객관식) x 4문항 / 4점(주관식) x 2문항 | |
소 계 |
100 |
2점(객관식) x 5문항 / 3점(객관식) x 18문항 / 4점(주관식) x 9문항 | |
실무 |
ERP 생산모듈 기본정보관리 |
21 |
3점(객관식) x 7문항 |
ERP 생산관리 |
24 |
3점(객관식) x 8문항 | |
ERP 자재/외주관리 |
15 |
3점(객관식) x 5문항 | |
ERP 생산모듈 시뮬레이션 |
40 |
4점(객관식) x 10문항 | |
소 계 |
100 |
3점(객관식) x 20문항 / 4점(객관식) x 10문항 |
※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홈페이지(http://www.kpcerp.or.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차례
제1부 경영혁신과 ERP
제1장 ERP시스템의 이해 / 13
01 ERP 개념과 등장 / 15
02 ERP 발전과정 / 17
03 ERP 특징 / 19
04 ERP 도입 / 20
05 ERP 구축 / 23
06 확장형 ERP / 26
제2부 물류이론
제1장 영업관리 / 33
01 수요예측 / 35
02 판매예측 / 40
03 판매계획 / 41
04 판매할당 / 44
05 가격전략 / 46
06 수주관리 / 49
07 대금회수 / 51
제2장 자재관리 / 57
01 자재관리 개요 / 59
02 자재소요계획 / 61
03 창고관리 / 68
04 재고관리 / 69
제3장 구매관리 / 79
01 구매관리의 개요 / 81
02 구매전략 / 83
03 구매실무 / 86
제4장 무역관리 / 97
01 무역의 개요 / 99
02 무역계약 / 105
03 신용장 / 109
04 무역대금 결제 / 114
05 환어음과 환율 / 121
06 선적서류 / 123
07 수출물품의 확보 / 125
08 수출입통관 실무 / 127
제3부 생산이론
제1장 생산관리 개요 / 135
01 생산관리 이해 / 137
02 생산시스템 / 140
제2장 생산계획 및 통제 / 145
01 수요예측 / 147
02 총괄생산계획 / 152
03 기준생산계획 / 153
제3장 공정관리 / 159
01 공정관리 / 161
02 공정관리 기법 / 168
03 JIT(Just In Time) 생산방식 / 176
제4장 자재소요 및 생산능력 계획 / 181
01 재고관리 / 183
02 자재소요계획 / 187
03 생산능력 / 192
04 공급망관리(SCM) / 193
제5장 품질관리 / 197
01 품질관리의 의의 / 199
02 QC 7가지 도구 / 202
03 TQM / 204
04 6시그마 / 205
05 통계적 품질관리 / 207
제4부 핵심ERP 이해와 활용
제1장 핵심ERP 기본 이해 / 215
01 핵심ERP 설치와 DB관리 / 217
02 핵심ERP 구성 이해 / 224
제2장 핵심ERP Master 환경설정 / 227
01 실습회사 개요 / 229
02 회사등록정보 / 230
제3장 핵심ERP 물류 · 생산모듈 기초정보 / 243
01 기초정보관리(공통정보) / 245
02 초기이월관리 / 267
03 마감/데이터관리 / 268
04 영업모듈 기초정보관리 / 273
05 구매/자재모듈 기초정보관리 / 278
06 생산모듈 기초정보관리 / 280
07 기초재고등록 / 286
제4장 핵심ERP 영업프로세스 실무 / 289
01 업무프로세스 이해 / 291
02 영업관리 / 293
03 영업현황 / 333
04 영업분석 / 341
제5장 핵심ERP 구매/자재프로세스 실무 / 347
01 업무프로세스의 이해 / 349
02 구매관리 / 350
03 구매현황 / 379
04 구매분석 / 383
05 재고관리 / 386
06 재고수불현황 / 394
07 재고평가 / 396
제6장 핵심ERP 무역프로세스 실무 / 403
01 업무프로세스의 이해 / 405
02 MASTER L/C(수출) / 407
03 수출현황 / 428
04 기타(수입) / 429
05 수입현황 / 446
제7장 핵심ERP 생산프로세스 실무 / 449
01 업무프로세스의 이해 / 451
02 생산관리 / 453
03 외주관리 / 476
04 재공관리 / 490
05 생산/외주/재공현황 / 492
제5부 합격 문제풀이
제1장 유형별 연습문제 / 501
01 물류 · 생산 1급 공통이론 / 503
02 물류 1급 이론 / 514
03 물류 1급 실무 / 567
04 생산 1급 이론 / 611
05 생산 1급 실무 / 647
제2장 기출문제 / 667
물류 1급 / 669
2014년 1회_40회(2014년 2월 22일 시행) / 669
2014년 2회_41회(2014년 3월 22일 시행) / 685
2014년 3회_42회(2014년 5월 24일 시행) / 703
2014년 4회_43회(2014년 7월 26일 시행) / 722
2014년 5회_44회(2014년 9월 27일 시행) / 740
2014년 6회_45회(2014년 11월 22일 시행) / 760
생산 1급 / 779
2014년 1회_40회(2014년 1월 22일 시행) / 779
2014년 2회_41회(2014년 3월 22일 시행) / 798
2014년 3회_42회(2014년 5월 24일 시행) / 816
2014년 4회_43회(2014년 7월 26일 시행) / 832
2014년 5회_44회(2014년 9월 27일 시행) / 848
2014년 6회_45회(2014년 11월 22일 시행) / 866
제3장 답안 및 풀이 / 887
유형별 연습문제 / 889
기출문제 / 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