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제품별 적정 판매가격과 적정 원가를 알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A. 제품별 손익분기점 분석을 통해서 적정 판매가격과 적정 원가를 알 수 있습니다.
☞ 원가 · 조업도 · 이익(Cost-Volume-Profit)분석은 조업도와 원가의 변화가 이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기법 즉, 손익분기점
분석으로 기업의 의사결정부분에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계산방법입니다.
손익분기점 분석을 하게되면, 다음과 같이 9가지의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방안이 나옵니다.
① 이익을 "0"으로 하기까지의 조업도(생산량과 판매량)는 얼마인가?
② 일정한 목표 판매량에서 얻을 수 있는 매출이익은 얼마인가?
③ 목표이익을 얻을 수 있는데 필요한 판매량과 매출액은 얼마인가?
④ 기업에 맞는 제품별 소비자 판매가격은 얼마인가?
⑤ 기업의 적정 생산량 및 판매량은 얼마인가?
⑥ 가격의 변화 및 원가의 변화가 각종 이익과 손익분기점에 미치는 영향은?
⑦ 특정 공정부문을 유지하여야 하고 어떤 부분은 폐지하여야 하는가?
⑧ 재품별 공헌이익을 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⑨ 매출액을 올릴 수 없다면, 공헌이익을 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손익분기점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
매출액에서 변동원가를 차감한 금액을 말하는 것으로서 고정원가를 회수하고 영업이익 획득에 얼마만큼 기여 할 수 있는지를 보는 것
입니다.
(공헌이익 = 매출액 - 변동원가)
② 단위당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 per unit)
단위당 판매가격에서 단위당 변동원가를 차감한 금액을 말하는 것으로서, 제조업에 있어서 단위당 공헌이익은 생산하여 판매한
제품 한 단위가 고정원가를 회수 하고 이익을 창출하는데 얼마만큼 공헌하였는가를 나타내는 금액입니다.
(단위당 공헌이익 = 단위당 판매가격 - 단위당 변동원가)
③ 공헌이익율(Contribution margin ratio)
공헌이익의 개념을 비율개념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총 공헌이익을 총 매출액으로 나누어서 계산 할 수도 있고 단위당 공헌이익을 단위
당 판매가격으로 나누어서 계산 할 수 도 있는 것을 말합니다.
(공헌이익율 = 총공헌이익 / 총 매출액 = 단위당 공헌이익 / 단위당 판매가격)
④ 손익분기점 판매량
(손익분기점 판매량 = 고정원가 / 단위당 공헌이익)
⑤ 손익분기점 매출액
(손익분기점 매출액 = 고정원가 / 공헌이익률)
⑥ 손익분기점 비율
(손익분기점 비율 = 고정원가 / 공헌이익)
⑦ 목표이익(Target net income) 분석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판매량 = 고정원가 + 목표이익 / 단위당 공헌이익)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판매액 = 고정원가 + 목표이익 / 공헌이익율)
⑧ 안전한계(Margin of safety)
예상 매출액 또는 실제 매출액이 손익분기점을 초과 달성하는 한계 수준을 계산해 보는 것을 말하며, 안전 한계를 나타낼 때 다음과
같이 안전한계 금액과 이를 비율로 나타낸 안전한계율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안전한계 = 매출액 - 손익분기점 매출액)
안전한계 역시 비율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데, 안전한계 금액을 총 매출액으로 나누면 안전 한계율이 됩니다.
(안전한계율 = 매출액 - 손익분기점 매출액 / 매출액 = 안전한계 / 매출액)
안전한계는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허용 할 수 있는 매출액의 최대 감소액을 의미하므로 기업의 안전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많이
사용됩니다. 즉, 안전한계가 높을 수록 기업의 안정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으며, 안전한계가 낮을 수록 기업의 안전성이 문제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영자가 좀 더 높은 안전한계수준을 원한다면 손익분기점을 낮추거나 회사의 전반적인 매출수준을 늘리기 위한 노력을 해야만
합니다.
자세한 상담 문의: 한국경영회계연구원 조현석 원장 (010-2246-3953)
'원가진단사--★☆ > 질문 Q &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재 수불부 작성은 어떻게 합니까? (0) | 2015.06.03 |
---|---|
공정별 원가계산을 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0) | 2015.06.01 |
결합원가 배분에서 배분의 대상은 어디까지인가요? (0) | 2015.04.11 |
제품 출고 후 A/S를 위한 반입 시 원가계산은 어떻게 하는지요? (0) | 2014.08.29 |
제조원가명세서는 재무제표가 아닌데 왜 작성해야 하나요? (0) | 201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