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OUNT, DCOUNTA 함수
=DCOUNT(database, field, criteria)
=DCOUNTA(database, field, criteria)
<!--[if !supportEmptyParas]--> <!--[endif]-->
DCOUNT 함수는 지정한 조건에 맞는 데이터베이스나 목록에서 숫자를 포함한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
DCOUNTA 함수는 지정한 조건에 맞는 데이터베이스나 목록에서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
※ 인수설명
Database : 참조될 영역으로 보통 표를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 전체범위를 지정합니다. field : 찾고자 하는 필드로써 일반적으로 범위로 지정한 표의 항목을 의미하며, 표에서는 열의 번호로 단일 숫자를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criteria : 검색할 조건을 지정해줍니다. 이때 조건은 범위로 지정합니다. |
<!--[if !supportEmptyParas]--> <!--[endif]-->
※ 아래 표를 보고 DCOUNT 함수와 DCOUNTA함수를 이용해 프랑스 출장인원과 남성 출장인원이 몇 명인지 구해보세요.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DCOUNT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숫자를 세는 함수로 프랑스 출장인원을 구하는 방법은
먼저 DCOUNT함수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범위를 B3:F14로 지정하고
이중에 숫자를 포함한 열인 4번째열을 필드로 지정해줍니다.
리고 출장지가 프랑스인 조건을 D3:D4의 범위로 지정해줍니다.
=DCOUNT(B3:F14, 4, D3:D4)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럼 위와같은 수식으로 나타낼수 있으며, 프랑스 출장인원은 2명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DCOUNTA 함수는 문자를 포함한 셀의 개수를 세는 함수로
마찬가지로 데이터베이스를 B3:F14 까지 지정한후 남자인사람의 개수를 세므로,
2번째 열을 필드로 지정하고 성별이 남자인 C3:C4 범위를 조건으로 지정해줍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DCOUNTA(B3:F14, 2, C3:C4)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럼 위와같은 수식으로 나타낼수 있으며, 남성 출장인원은 6명이라는 결과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엑셀--★☆ > 엑셀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MIFS 함수 (0) | 2014.11.05 |
---|---|
데이터베이스 함수:DPRODUCT 함수 (0) | 2014.10.20 |
[엑셀 메뉴강좌]숫자를 원 문자로 바꾸기 (0) | 2014.10.06 |
[엑셀 함수강좌]데이터베이스함수:DMAX, DMIN함수 (0) | 2014.09.29 |
[엑셀 메뉴강좌]숫자를 한글로 표시하기 (0) | 201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