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관리사--★☆/회계관리 1급

회계관리1급-재무회계 도서 안내

원가진단사조현석 2015. 4. 8. 16:13

 

 

 

 

Foreword 머리말

 

회계의 투명성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기업에서도 회계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신규직원 채용시기업에서는 어느 정도 실력이 검증된 사람을 찾으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반면, 회계실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제도가 미흡하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또한,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과정이 실무와 상당한 차이가 있어서 기업에서는 신규직원 채용 후 재교육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희 삼일회계법인은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재경전문가를 양성하는 국가공인 회계관리자격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회계관리자젹제도는 수준에 따라 회계관리2급, 회계관리1급, 재경관리사로 나뉘어집니다.

 

먼저 회계관리2급은 전사원의 회계마인드 함양을 위하여 기업의 의사소통 수단인 회계의 기초지식을 검증하는 단계로서 재무제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분석능력을 습득하였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입니다.

 

다음으로 회계관리1급은 회계실무자를 대상으로 재무회계와 세무회계에 대한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하여 기업의 실무책임자 또는 관리자로서 전반적인 회계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재경인을 선발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재경관리사는 회계관리자격제도의 최상위단계로서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등 재경업무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식과 실무능력을 겸비하여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의 전반적인 관리책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재경전문가를 선발하는 과정입니다.

 

 

 

FOREWORD

 

본서는 상기 회계관리자격제도 중 재경실무자를 선발하는 회계관리1급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대상으로 세무회계의 내용을 실무중심의 다양한 사례와 함께 알기 쉽게 설명한 교재입니다.

 

본서의 주요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법인세 세무조정의 주요내용과 절차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엿습니다.

둘쨰, 소득세의 기본이론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연말정산, 원천지우 등에 관한 내용을 실무에서 접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였습니다.

셋째, 부가가치세애 대한 기본이론과 더불어 세금계산서 발행 및 부가가치세 신고절차에 대하여 다양한 사례를 들어 체계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본서는 회계관리1급 시험에 대비한 교재이지만, 그 동안 저희 삼일회계법인이 쌓아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중심의 사례를 곁들여 알기 쉽게 설명하였기 때문에 재경분야에서 실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실무자들도 업무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끝으로 이 책이 나오기까지 수고해주시 집필진 여러분께 심심한 사의를 표하며, 본 책자가 회계관리1급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앞당기는 길잡이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삼일회계법인 회장 안 경 태

 

 

Information 회계관리1급 자격시험 안내

 

국가공인 회계관리자격제도란?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재경분야의 전문가임을 인증하는 자격시험제도입니다. 시험은 수준에 따라 회계관리2급, 회계관리1급, 재경관리사로 구분됩니다.

 

자격기준 개요

1) 회계관리2급: 회계의 기초지식과 재무제표에 대하 기본적인 이해 및 분석능력을 검증합니다.

2) 회계관리1급: 재무회계, 세무회계에 관한 지식을 갖춘 기업의 회계실무자 및 중간관리자로서 회계전반에 걸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 평가 검증합니다.

3) 재경관리사: 제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등 재경전반의 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춘 기업내 재경전문가로서 기업의 종합적인 관리책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평가 검증합니다.

 

시험안내

1. 회계관리2급

  1) 시험일자: 연 5회 실시

  2) 응시자격: 연령, 학력, 경력 제한 없음

  3) 시험과목: 회계원리

  4) 합격기준: 70점(100점 만점) 이상

  5) 문항수 및 유형: 40문제 객관식(4지선다형)

2. 회계관리1급

  1) 시험일자: 연 5회 실시

  2) 응시자격: 연령, 학력, 경력 제한 없음

  3) 시험과목: 재무회계, 세무회계

  4) 합격기준: 전과목 과목별 70점(100점 만점) 이상

  5) 문항수 및 유형: 매 과목당 40문제 객관식(4지선다형) 

 

 

3. 재경관리사

  1) 시험일자: 연 5회 실시

  2) 응시자격: 연령, 학력, 경력 제한 없음

  3) 시험과목: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4) 합격기준: 전과목 과목별 70점(100점 만점)이상

  5) 문항 수 및 유형: 매 과목당 40문제 객관식(4지선다형)

 

회계관리1급 평가범위  

 과목

평가범위 

 재무회계

 회계의 기본개념

 회계의 기본개념 이해

 회계의 의의, 재무보고의 목적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 일반사항

 중간재무제표, 중소기업 회계처리 특례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의 일반사항

 재무상태표 작성기준, 재무상태표의 유용성과 한계 

 당좌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다기투자자산, 유가증권, 매출채권계정 등의

 회계처리 

 재고자산

 재고자산의 회계처리, 재고자산 수량결정, 원가 흐름파악, 저가평가 

 투자자산

 장기금융상품, 유가증권, 현재가치평가 등의 회계처리 

 유형자산

 취득원가, 감가상각비 등의 계산 및 회계처리 

 무형자산

 무형자산의 개념파악 및 상각 

 기타비유동자산

 기타비유동자산의 기본개념 및 종류 

 유동부채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등의 회계처리 

 비유동부채

 사채, 장기차입금, 장기성 매입채무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의 개념과 회계처리

 이연법인세

 법인세 회계의 의의 및 필요성, 이연법인세자산과 이연법인세부채 

 자  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등의

 회계처리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에

대한 이해 

 이익잉여금처분내용,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체계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에 대한 이해 

 자본변동표의 기본구조 및 양식에 대한 이해 

 

 

 

Information 

 

 과  목

평  가  범  위 

 재무회계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의 기초이론

 손익계산서의 의의, 손익계산서의 작성기준 

수익의 인식 

 수익의 정의, 수익의 인식기준, 수익인식방법의 구체적 적용사례 

손익계산서의 계정과목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등 계정과목에 따른 회계처리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에 대한 이해 

 현금흐름표의 의의 및 기본구조, 유용성과 한계점에 대한 이해 

세무회계

조세총론 

조세의 개요 

 조세의 기본개념 및 체계 

법인세 

각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 

 법인세의 개념 

 각사업연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계산구조 

 세무조정 및 소득처분 

 산출세액의 계산절차 

소득세 

종합소득세의 계산 

 소득세의 개념 

 종합소득세의 계산구조 

 종류별 소득금액 계산 

 종합소득 과세표준 및 세액계산 

연말정산 

 연말정산 절차 및 방법 

원천징수 실무

원천징수의 개념 및 각 소득별 원천징수실무 

 원천징수의 절차 및 방법 

 각 소득별 원천징수영수증 작성 

 원천징수세율과 원천징수세액의 계산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의 개요 

 부가가치세의 개념 

 과세거래 

 과세표준과 납부세액의 계산 

 부가가치세신고서 

 신고와 납부절차 

세금계산서 실무

세금계산서의 작성 · 교부 

 세금계산서의 작성 · 교부 방법 

 전자세금계산서 

 수정세금계산서의 작성 · 교부 방법 

 세금계산서합계표 

 

 

 

Information 

 

응시접수안내

○ 원서는 회계관리 자격시험 홈페이지(www.SamilExam.com)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접수 하거나,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은 응시원서

    양식에 기입하여 무통장 입금증(응시료)과 함께 FAX(02-3781-3098)로 접수할 수 있음.

 

○ 문의: 삼일회계법인 회계관리검정사업부

    Tel.(080)377-3131, (02)3781-9493

 

합격자발표: 회계관리자격시험 홈페이지(www.SamilExam.com)에 공고하며, ARS 자동전화 060-706-3111 또는 안내전화 080-377-3131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ntents   차례

 

Chapter1 회계의 기본개념

 

1. 회계의 의의/19

  1) 회계의 의의/19

  2) 정보이용자에 따른 기업회계 구분/20    

 

2. 재무보고의 목적/21

  1) 재무제표의 작성책임/21

  2) 재무정보의 이용자/21

  3) 재무보고의 목적/21

   (1) 투자 및 신용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의 제공/22

    (2) 미래 현금흐름 예측에 유용한 정보의 제공/22

    (3) 재무상태, 경영성과, 현금흐름 및 자본변동에 관한 정보의 제공/22

    (4) 경영자의 수탁책임 평가에 유용한 정보의 제공/23


3. 국제회계기준/23

   1) 국제회계기준의 필요성/23

   2) 국제회계기준의 특징/24

   3) 우리나라 국제회계기준의 도입 및 적용/25


4. 회계정보의 질적특성/26

  1) 질적특성의 의의/26

   (1) 목적적합성/27

    (2) 신뢰성/28

    (3) 질적특성간의 상충관계/29

   2) 2차적 상호 작용 특성으로서의 비교가능성/29 

   3) 제약요인/30

   (1) 포괄적 제약: 효익>비용/30

    (2) 인식을 위한 제약:중요성/30 


5. 재무제표/30

   1) 재무제표의 기본 가정/30

    (1) 기업실체/30

    (2) 계속기업/31

    (3) 기간별 보고/31

   2) 발생주의 회계/31

   3) 재무제표의 체계 및 작성원칙/32

    (1) 재무상태표/32

    (2) 손익계산서/32

    (3) 현금흐름표/33

    (4) 자본변동표/34

    (5) 주석/34

   4) 재무제표의 상호관련성/35

   5) 재무제표 정보의 특성과 한계/36


6. 기업회계기준/36

   1) 개념/36

   2) 일반기업회계기준/38

    (1) 목적/38

    (2) 구성/38

    (3) 체계/39


7. 재무제표의 기본요소/41

   1) 재무상태표의 기본요소/41

    (1) 자산/41

    (2) 부채/41

    (3) 자본/42

   2) 손익계산서의 기본요소/42

    (1) 수익/42

    (2) 비용/42

    (3) 포괄이익/43

   3) 현금흐름표의 기본요소/43

    (1)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43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43

    (3)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43

   4) 자본변동표의 기본요소/44

    (1) 소유주의 투자/44

    (2) 소유주에 대한 분배/44


8. 재무제표 기본요소의 인식/44

   1) 인식의 기준/44


 

  2) 재무제표의 기본요소의 인식/45

   (1) 자산/45

    (2) 부채/45

    (3) 수익/45

    (4) 비용/45

   

9. 재무제표 기본요소의 측정/46

  1) 측정/46

  2) 측정속성의 종류/46

    (1) 취득원가(역사적원가)/46

    (2) 공정가치/46

    (3) 기업특유가치/46

    (4) 상각후금액/47

    (5) 순실현가능가치(이행금액)/47

  3) 측정속성의 선택/48

  4) 현재가치의 측정/48


10. 중간재무제표/49


11. 중소기업 회계처리 특례/52

     ▶ 보론: K-IFRS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55


○ 짚고 넘어가기/58 

○ 연습문제/59 


Chapter2 재무상태표의 일반사항


1. 재무상태표의 의의/67


2. 재무상태표의 구성요소/67

    (1) 자산/67

    (2) 부채/68

    (3) 자본/68


3. 재무상태표의 작성기준/69

    (1) 구분표시/69

    (2) 총액표시/69

    (3) 1년기준/69

    (4) 유동성배열법/69

    (5) 잉여금의 구분/69

    (6) 미결산항목 및 비망계정의 표시금지/70


4. 재무상태표의 유용성과 한계/70

    (1) 유용성/70

    (2) 한계/70


5. 재무상태표 양식/71


6. 책의 구성/73


○ 짚고 넘어가기/74

○ 연습문제/75


Chapter3 당좌자산


1. 당좌자산의 의의/79


2. 현금및현금성자산/79

  1) 개념 및 범위/79

  2) 일반기업회계상의 회계처리/80

    (1) 소액현금(petty cash)제도/80

    (2) 당좌예금/82

    (3) 은행계정조정/82

  3) 결산시 유의사항/84


3. 단기투자자산/85

  1) 단기투자자산의 의의/85

  2) 단기투자자산의 범위/86

  3)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87

    (1) 정기예금/87

    (2) 정기적금/87

  4) 결산시 유의사항/87


4. 유가증권/88

  1) 개념 및 범위/88

    (1) 단기매매증권/89

    (2) 1년 내에 만기가 도래하거나 처분할 것이 거의 확실한 매도가능증권/89

    (3) 1년 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만기보유증권/89

 

    

 

  2) 결산시 유의사항/90

   (1) 유가증권의 실사/90

    

5. 매출채권/90

  1) 외상매출금/91

   (1) 개념 및 범위/91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92

  2) 받을어음/98

    (1) 개념 및 범위/98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99

  3) 매출채권의 평가 - 대손충당금의 설정/101

    (1) 의의/101

    (2) 대손처리방법/102

    (3)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103

  4) 결산시 유의사항/106

    (1) 받을어음 실사/106

    (2) 채권 · 채무의 조회/107

  5) 매출채권의 분류/107


6. 기타당좌자산/107

  1) 단기대여금/107

    (1) 개념 및 범위/107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107

  2) 미수금/108

    (1) 개념 및 범위/108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108

  3) 미수수익/109

    (1) 개념 및 범위/109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109

  4) 선급금/110

    (1) 개념 및 범위/110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110

  5) 선급비용/111

    (1) 개념 및 범위/111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113

    ▶ 보론: K-IFRS 금융상품/113


○ 짚고 넘어가기/116

○ 연습문제/119


Chapter4 재고자산


1. 개념 및 범위/129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132

   1) 취득원가의 결정/132

    (1) 매입원가/133

    (2) 제조원가/133

    (3) 발생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하여야 하는 원가/133

    (4) 서비스기업의 재고자산 원가/134

   2) 재고자산의 수량결정/134

    (1) 계속기록법/134

    (2) 실지재고조사법(실사법)/135

   3) 재고자산의 원가흐름에 대한 가정/135

    (1) 개별법/136

    (2) 선입선출법(first-in first-out:FIFO)/136

    (3) 후입선출법(last-in first-out:LIFO)/138

    (4) 이동평균법/140

    (5) 총평균법/140

    (6) 표준원가법과 소매재고법/142

   4) 재고자산의 평가/145

    (1) 저가법 적용시의 시가/145

    (2) 저가법의 적용단위/146

    (3) 저가법 평가에 따른 회계처리/147


3. 결산시 유의사항/149

   1) 재고자산 실사/149

   2) 매출원가의 계산/149

   3) 재고자산의 평가/151

      ▶ 보론: 일반기업회계기준과 K-IFRS 제1002호간의 차이 요약/153


○ 짚고 넘어가기/154

○ 연습문제/156


 

Chapter5 투자자산


1. 투자자산의 의의/165


2. 장기금융상품/165

   1) 개념 및 범위/165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165

    (1) 기중의 회계처리/165

    (2) 결산시의 회계처리/167

3. 유가증권/167

  1) 개념 및 범위/167

    (1) 지분증권/167

    (2) 채무증권/168

   2) 지분증권의 회계처리/168

    (1) 지분증권의 취득/168

    (2) 지분증권의 평가/170

    (3) 지분법회계/174

    (4) 지분증권의 손상차손/184

    (5) 지분증권의 분류변경/190

    (6) 지분증권의 양도/190

  3) 채무증권의 회계처리/192

    (1) 채무증권의 취득/192

    (2) 채무증권의 평가/195

    (3) 채무증권의 손상차손/201

    (4) 채무증권의 분류변경/208

    (5) 채무증권의 양도/209

  4) 유가증권 회계처리의 요약/211

   

4. 투자부동산/212

     ▶ 보론: 일반기업회계기준과 K-IFRS 제1028호간의 차이 요약/213


○ 짚고 넘어가기/214

○ 연습문제/218


Chapter6 유형자산


1. 개념 및 범위/229

   1) 유형자산의 의의/229

    (1) 유형자산은 구체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229

    (2) 유형자산은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한 자산이다./229

    (3) 유형자산은 내구자산이다./229

   2) 유형자산의 계정분류/230

    (1) 토지/230

    (2) 건물/230

    (3) 구축물/231

    (4) 기계장치/231

    (5) 건설중인자산/231

    (6) 기타의 유형자산/232


2. 유형자산의 취득원가/233

   1) 취득원가의 결정/233

    (1) 토지와 건물의 일괄구입/234

    (2) 자가건설 유형자산/235

    (3) 장기연불거래 등에 의한 유형자산의 취득/236

    (4)다종자산의 일괄구입/238

    (5) 주식발행에 의한 취득한 자산(현물출자)/239

    (6) 교환에 의하여 취득한 자산/240

    (7) 증여 또는 무상취득/242

    (8) 유형자산 취득에 수반되는 국·공채 매입/243

    (9) 정부보조금 등으로 취득한 자산/243

   2)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247

    (1) 자본적 지출의 범위/247

    (2) 수익적 지출의 범위/248

    (3) 증설, 개량 및 대체/248

    (4)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수선의 경우/249

   3) 차입원가의 자본화/249



3. 감가상각과 자산의 손상/252

   1) 감가상각/252

    (1) 의의/252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253

   2) 유형자산의 손상/258

    (1) 유형자산 손상의 판단과 손상에 대한 회계처리/258

    (2) 손상된 유형자산의 회수가능액의 회복/260

   3) 유형자산의 재평가/261

    (1) 재평가모형의 일반/262

    (2) 재평가손익의 회계처리/262

    (3) 장부금액의 수정/263

   4)  유형자산의 제거/265

       ▶ 보론: K-IFRS 제1016호 '유형자산'/266


○ 짚고 넘어가기/269

○ 연습문제/272


Chapter7 무형자산


1. 개념 및 범위/281

   1) 무형자산의 정의와 요건/281

   2) 무형자산의 특징/281

   3) 무형자산의 종류/282

    (1) 영업권/282

    (2) 개발비/283

    (3) 소프트웨어/286

    (4) 산업재산권/287


2. 무형자산의 회계처리/288

   1) 무형자산의 취득원가/288

   2) 취득 또는 완성 후의 지출/290

   3) 무형자산의 상각/290

    (1) 상각기간/290

    (2) 상각방법/290

    (3) 잔존가치/291

   4) 무형자산의 손상/292

      ▶ 보론: K-IFRS 제1038호 '무형자산'/293


○ 짚고 넘어가기/294

○ 연습문제/296


Chapter8 기타비유동자산


1. 개념 및 종류/303

   1) 기타비유동자산의 기본개념/303

   2) 기타비유동자산의 종류/303

    (1) 이연법인세자산/303

    (2) 보증금/303

    (3) 장기매출채권/304

    (4) 장기미수금/304

    (5) 장기선급비용/304


2. 장기성 채권 · 채무의 공정가치 평가/305

   1) 적용대상/305

    (1) 장기연불조건의 매매거래/305

    (2) 장기금전대차거래/305

   2) 적절한 이자율의 산정/306

    (1) 당해 거래의 유효이자율/307

    (2) 동종시장이자율/307

    (3) 가중평균차입이자율/307

   3) 현재가치할인차금의 상각 또는 환입/308


○ 짚고 넘어가기/310

○ 연습문제/312


Chapter9 유동부채


1. 매입채무/317


2. 단기차입금/318

   1)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318

    (1) 당좌차월/318


3. 미지급금과 미지급비용/320

 

4. 선수금과 예수금/321


5. 기타 유동부채계정/321

   1) 당기법인세부채/321

   2) 유동성장기부채/321

   3) 선수수익/322


○ 짚고 넘어가기/323

○ 연습문제/325


Chapter10 비유동부채


1. 비유동부채의 의의/329

  1) 사채/329

  2) 장기차입금/329

  3) 장기성매입채무/330


2. 사채/330

  1) 사채의 의의/330

  2) 사채의 가격결정/331

  3) 사채발행시 회계처리/332

    (1) 사채의 액면발행/332

    (2) 사채의 할인발행/332

    (3) 사채의 할증발행/334

   4) 이자지급시 회계처리/335

    (1) 액면발행시/335

    (2) 할인발행시/335

    (3) 할증발행시/337

  5) 이자지급기간과 회계기간의 불일치/338

  6) 사채발행시 발생된 비용 - 사채발행비/339

  7) 사채상환시 회계처리/339

    (1) 만기상환/339

    (2) 조기상환/339

  8) 자기사채/340


3. 장기차입금/340

   1) 개념 및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340

   2) 외화장기차입금/341


4. 장기성매입채무/341


○ 짚고 넘어가기/342

○ 연습문제/344


Chapter11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1. 개념/349

   (1) 충당부채/349

    (2) 우발부채/349

    (3) 우발자산/349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350

  1) 인식/350

   (1) 충당부채/350

   (2) 우발부채/351

   (3) 우발자산/351

  2) 측정/356

   (1) 최선의 추정치/356

   (2) 불확실성/356

   (3) 현재가치/356

   (4) 자산의 예상처분차익/356

   (5) 충당부채의 변제/357

  3) 특수한 상황/357

   (1) 손실부담계약/357

   (2) 구조조정/357

  4) 충당부채의 유형/358

   (1) 제품보증충당부채/358

   (2) 반품충당부채/360

   (3) 하자보수충당부채/361

  5) 기타충당부채/361

   (1) 공사손실충당부채/362

   (2) 퇴직급여충당부채/362

   ▶ 보론: K-IFRS 제1019호 '종업원급여'/372


○ 짚고 넘어가기/375

○ 연습문제/378 


Chapter12 이연법인세


1. 법인세회계의 의의 및 필요성/385


2. 법인세회계/386

  1) 용어의 정의/386

   (1) 회계이익(회계손실)/386

   (2) 과세소득(세무상 결손금)/386

   (3) 법인세 부담액/386

   (4) 세무기준액/386

   (5) 일시적 차이/387

  2) 이연법인세자산과 이연법인세부채/389

   (1) 이연법인세자산/389

   (2) 이연법인세자산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매 회계연도말 평가/389

   (3) 이연법인세자산이 계상되는 추가적인 상황/390

   (4) 이여넙인세부채/390

  3) 이연법인세자산(부채)의 측정/391

  4) 법인세비용의 계산절차/391

  5) 이연법인세자산(부채)의 분류와 공시/395

   (1) 재무상태표 공시방법/395

   ▶ 보론: K-IFRS 제1012호 '법인세'/396


○ 짚고 넘어가기/397

○ 연습문제/398


Chapter13 자본


1. 자본의 의의/403


2. 자본의 분류/403


3. 자본금/404

  1) 자본금의 의의/404

  2) 주식의 종류/404

  3) 주식의 발행/407

   (1) 액면발행/407

   (2) 할증발행/407

   (3) 할인발행/408

   (4) 신주발행비/408

  4) 유상증자와 무상증자/409

   (1) 유상증자/409

   (2) 무상증자/409


4. 자본잉여금/410

  1) 자본잉여금의 의의/410

  2) 자본잉여금의 분류/410

   (1) 주식발행초과금/410

   (2) 감자차익/411

   (3) 자기주식처분이익/412

   (4) 재평가적립금/412


5. 자본조정/413

  1) 주식할인발행차금/413

  2) 미교부주식배당금/413

  3) 자기주식/414

  4) 배당건설이자/414

   (1) 의의/414

   (2) 배당건설이자의 상각/415

  5) 신주청약증거금/415


6. 기타포괄손익누계액/415

  1)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416

  2) 유형자산 재평가이익/416

  3) 지분법자본변동/416


7. 이익잉여금/417

  1) 이익잉여금의 의의/417

  2) 이익잉여금의 분류/417

   (1) 이익준비금/417

   (2) 기타법정적립금/417

   (3) 임의적립금/417

   (4) 미처분이익잉여금/418

  3) 미처분이익잉여금/418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418

   (2) 회계정책의 변경으로 인한 누적효과/418

   (3) 전기오류수정이익/418 



   (4) 중간배당액/419

   (5) 당기순이익/419

   (6)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419

  4) 임의적립금이입액/420

  5)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421

   (1) 의의/421

   (2)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와 결손금처리계산서/421

   (3) 이익잉여금처분/424

  6)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427


8. 자본변동표/427

  1) 자본변동표의 의의/427

  2) 자본변동표의 기본구조/428

   (1) 자본금의 변동/428

   (2) 자본잉여금의 변동/428

   (3) 자본조정의 변동/428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변동/429

   (5) 이익잉여금의 변동/429

  3) 자본변동표의 양식/432


○ 짚고 넘어가기/433

○ 연습문제/437


Chapter14 손익계산서의 기초이론


1. 손익계산서의 의의/447


2. 손익계산서의 작성기준/447

  1) 발생주의/448

  2) 실현주의/449

  3) 수익비용대응의 원칙/449

  4) 총액주의/450

  5) 구분계산의 원칙/450


3. 순이익보고 및 손익계산서의 양식/451

  1) 순이익보고/451

   (1) 포괄주의/451

   (2) 당기업적주의/452

  2) 손익계산서의 양식/452

   (1) 손익계산서 양식(중단사업손익이 있을 경우)/454

   (2) 손익계산서 양식(중단사업손익이 없을 경우)/455


○ 짚고 넘어가기/456

○ 연습문제/457


Chapter15 수익의 인식


1. 수익인식일반/461

  1) 수익의 정의/461

  2) 수익의 인식기준/461

   (1) 수익은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시점에 인식한다./461

   (2)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만 인식한다./462

  3) 수익의 측정/462

   (1) 원칙/462

   (2) 장기할부판매의 경우/462

   (3) 자산교환거래의 수익/463

  4) 거래의 식별/463

   (1) 원칙/463

   (2) 재화와 용역을 함꼐 제공하는 경우/464


2. 일반기업회계기준 수익인식/465

  1) 거래유형별 수익인식/465

   (1) 재화의 판매/465

   (2) 용역의 제공/467

   (3) 이자, 배당금, 로열티/468

  2) 수익의 총액 또는 순액인식/469

   (1) 총액인식을 위한 주요 지표/470

   (2) 총액인식을 위한 보조 지표/470


3. 수익인식 구체적 적용사례/470

  1) 수익인식방법의 구체적 적용사례/470

  

   (1) 용역매출/470

   (2) 건설형공사계약/471

   (3) 위탁매출/483

   (4) 할부판매/484

   (5) 상품권/485

   (6) 설치 및 검사조건부 판매/487

   (7) 반품가능판매/488

   (8) 임대업, 대행업, 전자쇼핑몰 등/490

   ▶ 보론: K-IFRS 제1011호 '건설계약'/497


○ 짚고 넘어가기/498

○ 연습문제/504


Chapter16 손익계산서의 계정과목


1. 매출액/513

  

2. 매출원가/513

  1) 의의/513

  2) 상품매매업의 매출원가/513

   (1) 매출원가 표시방법/513

   (2) 매입무대비용/514

   (3) 매입에누리와 환출/514

   (4) 매입할인/514

  3) 제조업의 매출원가/515

   (1) 매출원가 표시방법/515

   (2) 제조원가명세서/515

   (3) 타계정대체액의 표시/515

   (4) 기타 매출원가의 구분표시/516


3. 판매비와관리비/516

  1) 개념/516

  2) 급여/516

   (1) 임원급여/517

   (2) 급료와 임금/517

   (3) 제수당/517

  3) 퇴직급여/518

  4) 복리후생비/518

  5) 임차료/518

  6) 접대비/519

  7) 감가상각비/519

  8) 무형자산상각비/519

  9) 세금과공과/520

  10) 광고선전비/520

  11) 연구비와 경상개발비/521

   (1) 연구비/521

   (2) 경상개발비/521

  12) 대손상각비/521

  13) 기타 영업비용/522

   (1) 여비교통비/522

   (2) 통신비/522

   (3) 수도광열비/522

   (4) 수선비/522

   (5) 보험료/522

   (6) 견본비/523


4. 영업외수익/523

  1) 이자수익/523

  2) 배당금수익/524

  3) 유가증권처분이익/525

  4)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525

  5) 외환차익/525

  6) 외화환산이익/526

   (1) 개념/526

   (2) 일반기업회계상 회계처리/527

  7) 지분법이익/528

  8) 투자자산처분이익/529

   (1) 개념/529

   (2) 일반기업회계상의 회계처리/529

  9) 유형자산처분이익/529

  10) 사채상환이익/530

   (1) 개념/530

   (2) 사채상환손익의 계산/530

  11) 전기오류수정이익/531

  12) 자산수증이익과 채무면제이익/532

  13) 잡이익/532 


 5. 영업외비용/532

  1) 이자비용/532

  2) 재고자산감모손실/533

   (1) 원가성이 없는 재고자산감모손실/533

   (2) 원가성이 있는 재고자산감모손실/533

  3) 기부금/533

  4) 전기오류수정손실/534

  5) 기타/534


6. 법인세비용/534


7. 주당이익/535

  1) 개념/535

  2) 주당이익의 산출방법/536

   (1) 보통주 당기순이익의 산정/536

   (2)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의 산정/536

  3) 주당이익의 공시/539

      ▶ 보론: 일반기업회계기준과 K-IFRS 제1021호간의 차이 요약/541

  

○ 짚고 넘어가기/542

○ 연습문제/544


Chapter17 현금흐름표


1. 현금흐름표의 의의/551

  

2. 현금흐름표의 유용성 및 한계점/552

  1) 현금흐름표의 유용성/552

   (1) 영업활동 현금흐름과 당기순이익 간의 차이에 관한 정보/552

   (2) 투자활동에 관한 정보/553

   (3) 재무활동에 관한 정보/553

   (4) 미래현금흐름에 관한 정보/553

   (5) 부채상환능력과 배당금지급능력에 관한 정보/553

  2) 현금흐름표의 한계/553


3. 현금흐름표의 형식 및 구조/554

  1) 현금흐름표의 형식/554


4. 현금흐름표의 활동/555

  1) 영업활동 현금흐름/555

  2) 투자활동 현금흐름/556

  3) 재무활동 현금흐름/556


5.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거래-주석 공시의 효과/557

   (1) 현물출자로 인한 유형자산 취득/557

   (2) 유형자산의 연불구입/557

   (3) 무상증자/558

   (4) 주식배당/558

   (5) 전환사채의 전환/558

   ▶ 보론: 일반기업회계기준과 K-IFRS 제1007호 간의 차이 요약/559


○ 짚고 넘어가기/560

○ 연습문제/561


연습문제 정답 및 해설/563

모의고사/585

모의고사 정답 및 해설/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