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의 명확한 구분을 통한 회계처리의 이유는 자본적 지출 또는 수익적 지출로 처리하느냐에 따라 재무상태의 변동 또는 경영성과의 변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임
○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의 목적
단순히 유향자산의 가치 감소분(감가상각은 자산의 가치감소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평가방법이 아님)을 기록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기간별 원가배분을 하기 위한 목적임
○ 감가상각의 3요소
취득원가, 내용연수, 잔존가액
○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누계액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차감형식으로 표시하며, 차감 후 잔존가액을 장부가액이라 한다.
○ 무형자산의 인식
프로젝트의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모든 지출을 무형자산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조건을 모두 충족할 경우에만 무형자산으로 인식하는 것이며, 그 외의 경우에는 경상개발비로 대체되는 것은 기간비용으로 인식함
▶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기 위한 일정한 조건이라 함은 다음과 같다.
- 무형자산을 사용 또는 판매하기 위해 그 자산을 완성시킬 수 있는 기술적 실현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 무형자산을 완성해 그것을 사용하거나 판매하려는 기업의 의도가 있다.
- 완성된 무형자산을 사용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을 제시할 수 있다.
- 무형자산이 어떻게 미래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인가를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무형자산의 산출물, 그 무형자산에 대한 시장이 존재 또
는 무형자산이 내부적으로 사용 될 것이라면 그 유용성을 재시하여야 한다.
- 무형자산의 개발을 완료하고 그것을 판매 또는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금전적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는 사실을 제시할 수 있다.
-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무형자산 관련 지출을 신뢰성 있게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 개발단계에 속하는 활동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생산 전 또는 사용 전의 시작품과 모형을 설계, 제작 및 시험하는 활동
- 새로운 기술과 관련된 공구, 금형, 주형 등을 설계하는 활동
- 상업적 생산목적이 아닌 소규모의 시험공장을 설계, 건설 및 가동하는 활동
- 새롭거나 개선된 재료, 장치, 제품, 공정, 시스템 및 용역등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선정된 안을 설계, 제작 및 시험하는 활동
'재무진단사--★☆ >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급여충당부채 (0) | 2015.09.06 |
---|---|
전세권은 어느 자산에 해당 하나요? (0) | 2015.09.05 |
매도가능증권의 회계처리 (0) | 2015.09.05 |
회계상 거래로 보는 것과 보지 않는 것 (0) | 2015.09.05 |
회계장부의 종류 (0) | 2015.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