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진단사--★☆/원가진단사 업무 제안

원가절감을 위한 "표준원가 전략"

원가진단사조현석 2016. 4. 4. 15:54


1. 재료 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 분석

 1) 수량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근로자의 사기 저하로 인한 수량 초과

   b. 근로자의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수량 초과

   c. 불량 자재의 사용으로 인한 수량 초과

   d.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수량 초과

   e. 기계고장으로 인한 수량 초과


 2) 가격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구매부서의 구매 협상력 부재로 인한 가격 인상

   b. 인플레이션 효과로 인한 가격 인상

   c. 자재 공급처의 독점 공급으로 인한 가격 인상

   d. 통제 불능 원가에 해당하는 자재에 속함으로 인한 가격 회피 불능 원가



2. 재료 구입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 분석

 ※ 재료 투입시점과 구입시점에서의 분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원 · 부자재를 구입시점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 가격차이를 구입시점에서 분리하여야지만 구매담당자가 즉시 반영하여 수정 명령을 내릴 수 있어 좋고, 생산투입시점에서 재료원가

         계산과정이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3. 노무비 발생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 분석

 1) 능률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근로자의 사기 저하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b. 근로자의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c. 불량 자재의 사용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d.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e. 기계고장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2) 가격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임금협상으로 인한 임률의 인상

   b. 장기 근속자의 증가로 인한 임률의 인상

   c. 경력 사원의 채용으로 인한 임률의 인상

   d. 전체 생산 인력의 과잉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



4. 고정 제조간접원가 발생 시점에서의 표준원가 차이 분석

 1) 조업도 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근로자의 사기 저하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b. 근로자의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c. 불량 자재의 사용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d.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e. 기계고장으로 인한 노동시간 초과 또는 생산량 감소


 2) 배부차이로 인한 불리의 원인 분석

   a.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격 인상

   b. 경비지출 관리 소홀로 인한 비용 초과 발생

   c. 노동시간 또는 기계가동시간등의 전월 대비 증가로 인한 비용 초과 발생

   d. 전체 생산 인력의 과잉으로 인한 비용 초과 상승 발생


○ 표준원가와 관련한 문의와 컨설팅 문의는 다음의 연락처로 전화 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한국경영회계연구원

    원장 조현석

    ☏ 010-2246-3953

    감사합니다.